최근 소비 심리 위축과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의 경영난 해소와 내수 소비 활성화를 목표로 기획된 ‘동행축제’는 지난 9월 행사를 통해 총 6634억 원의 막대한 매출을 기록하며 그 가능성을 입증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 이면에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어,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요구된다.
이번 ‘9월 동행축제’는 단순한 할인 행사를 넘어, 침체된 내수 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고 소상공인들의 매출 증대를 도모하기 위한 전국 단위의 종합적인 소비 촉진 행사로 기획되었다. 특히, 이번 축제는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 쿠폰 지급과 더불어, 전국적인 연계 행사와 다채로운 이벤트들을 통해 소비 분위기 확산에 주력했다. 그 결과, 온라인 판매전에서는 6307억 원, 오프라인 판매전에서는 327억 원의 직접 매출이 발생했으며, 여기에 온누리상품권 4856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2412억 원의 판매가 더해지며 내수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판매전에는 총 2만 7000여 개 사가 참여하여 630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특히, 롯데온에서 진행된 ‘동행제품100’ 기획전은 이번 축제의 대표적인 온라인 판매 채널로 자리매김했다. 동아식품의 ‘김가네 식탁 감자탕’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배(6700만 원), 호정식품의 ‘옛날 도나스’는 13배(6200만 원) 이상 매출이 증가하는 등 롯데온 입점 이후 최고 실적을 기록하며 온라인 판로 확대의 성공적인 사례를 보여주었다. 쿠팡의 ‘동행제품100’ 기획전 역시 주목받았으며, 다정한 마켓의 반려동물 간식껌은 6400만 원, 부쉬맨의 워터프루프 선크림은 6000만 원의 매출을 올리며 높은 판매고를 기록했다.
오프라인 판매전 역시 144곳의 지역 행사와 정책 매장을 통해 327억 원의 매출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동행축제가 전국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활력 제고를 목표로 한 만큼, 특히 비수도권 지역과 인구 감소 지역의 상권 및 소비자 접점을 넓히는 데 집중했다. 전체 행사 144곳 중 비수도권이 110곳(76%), 인구 감소 지역이 34곳(24%)을 차지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제주 개막식과 롯데백화점 상생판매전 역시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제주 ICC에서 열린 개막식은 APEC 중소기업장관회의 연계 행사로 1만 8000명이 방문하는 성황을 이루었고, 이틀간 진행된 판매전에는 제주 소상공인 51개 사가 참여하여 8500만 원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백화점 잠실점의 상생판매전에서는 9월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1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대기업과 소상공인, 전통시장이 함께 성장하는 유통 구조를 마련했다.
이 밖에도 상생소비복권과 민간기업 주도의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가 눈길을 끌었다. 상생소비복권은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매장에서 5만 원 이상 카드 결제 시 추첨을 통해 10억 원 규모의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행사로, 1000만 명이 응모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7개 TV홈쇼핑사와 7개 카드사 역시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특별 혜택과 캐시백, 할인 혜택을 강화하며 소비 촉진에 동참했다. 배달의민족은 제주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장 할인쿠폰과 더불어, 집중호우 피해를 입은 특별재난지역 소상공인을 위한 추가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지역 상권 회복을 지원했다.
최원영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실장은 “따뜻한 소비는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의 불씨가 되고 우리 경제에는 힘찬 숨결을 불어넣는다”며 국민들의 참여에 감사를 표했다. 더불어 정부는 기존 할인 축제를 통합하여 10월 29일부터 11월 9일까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을 개최할 예정이며, 쇼핑, 여행, 문화 등 다양한 소비 혜택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꼼꼼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동행축제’의 성공적인 결과는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정책 목표 달성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여주지만, 향후 지속적인 소비 회복과 소상공인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인 접근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