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행정정보시스템 전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며 국민 불편이 가중되었다. 특히, 국민 생활과 직결된 119안전신고 서비스와 국가의 중요 기록을 관리하는 국가기록포털 등이 먹통이 되면서 사회적 우려가 커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은 다가오는 추석 연휴를 앞두고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처 능력 저하와 더불어, 국가 기록물 접근 제한이라는 예상치 못한 문제점을 야기했다. 더 나아가 국민신문고 등 주요 민원 서비스 중단은 지자체와의 소통 채널에도 큰 공백을 만들어 행정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게 했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안부 장관) 주재로 긴급 중대본 회의를 열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 복구 현황을 점검하고,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 결과, 오전 6시를 기준으로 총 110개 시스템이 복구되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재개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 복구는 긴 연휴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및 재난 관리 대응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가기록포털의 재가동은 국민들이 국가의 중요한 기록물에 다시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국민 불편 해소를 위한 정부의 발 빠른 조치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민간 전문가와 연구기관의 인력을 현장에 투입했으며, 예비비를 편성하여 복구 작업에 필요한 자원을 총동원했다. 또한, 시스템 중단으로 인한 행정 공백을 최소화하고자 기관별 업무 연속성 계획에 따라 가능한 대체 수단을 제공하고, 미흡한 부분은 적극적으로 보완해 국민들이 겪는 불편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국민신문고 서비스 중단으로 불편을 겪었던 지자체들은 과거에 활용했던 시·군·구 새올시스템의 온라인 상담 창구를 복원하여 지자체별 온라인 민원 상담 서비스를 다시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는 국가 정보 관리 시스템의 취약점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다. 윤호중 장관은 “국가 행정정보시스템의 신속한 복구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는 한편, 범정부 차원에서 주요 정보시스템과 운영시설을 전수 점검하는 등 국가 정보관리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추석 연휴 기간에도 행정서비스가 멈추지 않도록 하고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시간 복구 현황을 공개하고 대체 서비스를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하며, 이번 사태를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보다 안전하고 안정적인 국가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