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를 휩쓴 한류 열풍과 K-문화의 확산 속에서, 대한민국은 이제 낯선 나라가 아닌 친근한 문화 콘텐츠로 세계인들과 소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화적 교류가 어떻게 ‘외교’라는 이름으로 발전하고, 나아가 국제 사회의 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은 여전히 필요하다. 정부 간의 공식적인 외교를 넘어, 국민 개개인이 문화와 예술을 통해 신뢰와 호감을 쌓아가는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시점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듯, ‘제7회 공공외교주간’이 지난 9월 8일부터 27일까지 한국국제교류재단(KF) 글로벌 센터와 각 대사관, 서울광장 등지에서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번 공공외교주간은 국민들이 직접 공공외교 현장을 체험하고 우리 문화를 공유하며 세계와 만날 수 있는 다채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문화와 예술을 매개로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국제 사회 협력의 든든한 밑거름이 되는 호감과 신뢰를 쌓고자 하는 것이 행사의 핵심 목표였다. 이러한 취지 아래, 이번 행사는 다양한 워크숍, 포럼, 전시, 공연 등으로 풍성하게 구성되어 참여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행사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딸과 함께 ‘콜롬비아 스페셜티 커피의 놀라운 세계’라는 워크숍에 참여하며 공공외교의 생생한 현장을 경험했다. 지구 반대편에 위치한 한국과 콜롬비아가 커피라는 작은 씨앗 하나로 마음을 나누고 공감할 수 있다는 사실에 깊은 신기함을 느꼈다. 워크숍에서는 알레한드로 주한 콜롬비아 대사가 콜롬비아 커피의 역사와 중요성, 그리고 커피 재배 지역의 아름다움에 대해 설명했으며, 커피 전문가인 강병문 씨는 커피 제조 과정을 시연하며 참가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두 종류의 커피를 시음하며 각자의 취향을 발견하는 과정 속에서, 참가자들은 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는 법을 배웠다. 또한, 콜롬비아가 6·25 전쟁 당시 한국을 도왔던 파병 국가라는 사실과 함께, 현재 한국과 콜롬비아가 무비자로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다는 점은 두 나라 간의 깊은 유대감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었다.
이번 공공외교주간은 우리 외교부가 내년 예산안에서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사업을 확대하고 신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공공외교를 강화하겠다고 밝힌 정책 방향과도 맥을 같이 한다. 특히 올해 우리나라에서 개최되거나 개최 예정인 여러 국제 행사와 더불어, 한 달여 뒤 열리는 APEC 회의 개최국이라는 점은 민간 외교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킨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7회 공공외교주간’은 단순히 정부 주도의 행사를 넘어, 국민들이 스스로 공공외교의 주인공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외교는 더 이상 정부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국민의 지지와 참여 없이는 지속 가능한 외교를 기대하기 어렵다. 반대로 국민의 진심 어린 바람과 의견이 담긴 외교는 그 어떤 것보다 끈끈하고 강력한 관계를 구축할 수 있다. ‘제7회 공공외교주간’을 통해 국민들이 공공외교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고,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공공외교의 주체로서 활동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이번 행사에 이어 오는 26일 열리는 스페인 행사에도 참여하며 공공외교의 경험을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