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사회에서 표준화 논의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는 가운데, 한국이 국제표준화기구(ISO) 기술이사국(TMB)에 연임하며 그 위상을 더욱 공고히 했다.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르완다 키갈리에서 개최된 ISO 총회에서 한국의 연임이 결정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2028년까지 ISO의 핵심 의사결정 기구에서 기술 정책 결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국제 표준화 역량이 국제사회로부터 다시 한번 인정받았음을 의미한다.
이번 연임이 해결하려는 근본적인 문제는 한국이 글로벌 기술 표준화 논의에서 소외되거나 영향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잠재적 위험이었다. 기술이사국(TMB)은 ISO 내에서 신규 표준위원회 설립 및 해산, 기존 표준위원회 간의 업무 조정, 그리고 의장국 임명 등 ISO의 전반적인 표준 활동을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핵심 기구에서 배제될 경우, 한국의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한 국제적인 영향력은 축소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은 이번 ISO 총회에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우선, 기술이사국 연임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냄으로써 지속적인 참여 기반을 확보했다. 더 나아가, ‘GPS 기반 개인 위치 서비스 기술’ 분야 표준위원회 설립을 직접 제안하고, 이를 위한 워크숍을 주관하며 ISO 회원국들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데 힘썼다. 이는 한국이 주도적으로 새로운 표준 분야를 개척하고 관련 기술의 발전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다. 또한, 캐나다, 이탈리아 등 주요국의 표준화 기관과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오는 12월 개최될 ‘국제 AI 표준 서밋’에 대한 주요 인사들의 참여를 요청하는 등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행보도 병행했다.
이번 ISO 기술이사국 연임을 계기로 한국은 국제 표준화 무대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게 되었다. 김대자 국표원장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리더십을 가지고 국제사회가 신뢰하는 표준 강국으로서 위상을 공고히 하겠다”고 밝히며, 국제 사회가 신뢰하는 표준을 선도하는 국가로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임을 시사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결실을 맺는다면, 한국의 기술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것이며, 글로벌 기술 표준화 논의에서 한국의 목소리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