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앞두고 은행에서 목돈 이체를 돕기 위해 동행했던 경험은 최근 금융 시스템의 변화와 함께 심각해지는 금융사기 문제를 여실히 드러냈다. 특히 이체 경험이 잦지 않은 고령층, 그중에서도 60대 이상 여성이 보이스피싱 범죄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은행 창구를 이용하는 고액 인출·이체 고객을 대상으로 한 강화된 문진 제도 시행은 이러한 현실을 방증한다.
최근 보이스피싱 사례가 급증하면서 은행권은 공동으로 이체 절차를 강화하고 나섰다. 특히 6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금융사기 예방을 위해 창구 이용객은 반드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홍보 동영상을 시청해야 하며, 실제 발생한 최신 보이스피싱 사례에 대한 안내도 제공된다. 은행 직원은 “점점 내 돈 찾기도 힘들어진다”는 이용객의 불만에 대해 “요즘 보이스 피싱이 점점 더 지능화되고 피해 금액도 계속 커지고 있다”며, “조금 불편하시더라도 고객님의 소중한 자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는 ‘영화 같은 작전, 그 주인공은 당신일 수도!’라는 제목의 보이스 피싱 예방 동영상을 다시 시청할 수 있다. 이 영상은 정부 기관을 사칭한 가해자가 통화 상대방이 공범 또는 피해자인지 확인해야 한다며 주민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을 요구하는 실제 보이스피싱 수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만약 현재 자금 이체 상황이 영상의 내용과 매우 유사하다면, 이체를 멈출 수 있는 중요한 방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보이스피싱 사태의 심각성은 금융권의 대응에서도 드러난다. 한 은행은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전담 창구를 설치하기도 했다. 또한, 금융감독원과 범금융권은 ‘보이스 피싱 제로(Zero) 캠페인’의 일환으로 ‘그놈 목소리 3Go!’를 통해 ‘보이스 피싱 의심하Go, 주저 없이 전화끊Go, 해당 기관에 확인하Go’라는 구체적인 예방 수칙을 제시하고 있다. 금전 선입금을 요구하는 모든 경우를 의심하고, 자녀 등에게 반드시 전화하여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최근 금융권에서 전송된 안내문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1월~7월) 보이스피싱 및 문자 결제 사기 범죄 피해액은 7,992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7월에는 월별 피해액 기준 역대 최대인 1,345억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의심되는 링크를 절대 클릭하지 않는 것이 최우선이며, 발신 번호는 금융사기 통합 신고 대응센터(1566-1188)에서 24시간 상담을 통해 즉시 확인할 수 있다. 경찰청과 금융감독원이 함께 운영하는 이 센터에 신고 이력을 조회하거나, 112에 신고하여 즉시 연결받을 수 있다. 악성 앱을 설치했다면 경찰서를 방문하여 전용 제거 앱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대응 체계는 피해 확산을 막는 최소한의 방어선이며, 사전에 정보 공유와 확인 절차를 거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9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보이스 피싱 정책, 홍보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한다. 이는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사후 구제 관련 신규 제도 제안, 현행 제도 개선 방안, 빅데이터, AI, FDS 활용 등 탐지 기법 개발, 보이스 피싱 예방 홍보 영상 제작 아이디어 등을 모집하는 대국민 공모전으로, 총 상금 1천 600만 원이 걸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