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기후변화는 곤충의 서식지를 급격히 변화시키며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열매를 맺게 하는 등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미래 식량 자원 및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도 매우 크다. 그러나 이러한 곤충들이 겪는 어려움은 단순히 생태계의 문제를 넘어 인류 전체의 생존과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은 곤충의 날(9월 7일)을 맞아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개최하며 이 문제를 조명하고 있다. 이 전시는 약 4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곤충의 역사를 소개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해 온 곤충이 현재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뛰어난 적응력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기후변화는 곤충에게도 속수무책인 현실을 안겨주고 있다.
전시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해 곤충의 삶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온 상승으로 인해 일부 곤충 종들은 서식지를 북상하며 이동하는 반면, 다른 종들은 서식지가 축소되거나 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이동했으며,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하며 오히려 서식지를 확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해 생존 위기에 놓여 있다.
이러한 곤충의 변화는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생물지표종 8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파악된다.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감소하면서 멸종 위기에 처했으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 감소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이들 고유종이 사라질 경우 전 세계적으로도 완전히 사라진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기후변화의 근본적인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며, 이는 지구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고 해수 온도 및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인류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의 일상적인 실천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국립과천과학관의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류에게까지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경고하며,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탄소중립 방안들을 제시하며 관람객들이 지구를 위한 다짐을 작성하도록 이끌고 있다. 남은 기간 동안 전시를 관람하며 곤충과 기후변화의 관계를 이해하고, 일상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