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상생페이백’이 시작되었지만, 많은 국민들이 늘어나는 카드값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카드 사용액이 이전보다 증가한 국민들에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형태로 환급해주는 이 사업은, 가계 경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명확한 소비 계획 없이 기존처럼 소비하다 보면 기대만큼의 환급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상생페이백은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카드 소비액이 이전 평균 카드값보다 증가한 경우, 늘어난 금액의 20%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사업이다. 이 혜택은 3개월간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 환급받은 금액은 지급일로부터 5년간 사용할 수 있다. 2024년도에 체크카드 및 신용카드 사용 실적이 있는 만 19세 이상 국민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이 제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카드 소비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간소화 메뉴에서 ‘소득·세액공제 자료 조회’ 항목을 통해 1년 치 카드 소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작년 월평균 카드 소비액을 계산하고,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소비액 증가분을 예측해 보면 어느 정도의 환급액을 기대할 수 있을지 가늠해 볼 수 있다. 신청은 상생페이백 누리집(상생페이백.kr)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 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다만, 디지털온누리 앱 미가입자는 별도 설치 및 가입 절차가 필요하다. 신청 기간은 9월 15일(월) 9:00부터 11월 30일(일) 24:00까지이며, 9월 20일(토)부터는 요일제 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상생페이백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소비처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형마트 및 백화점, 온라인몰, 명품 전문 매장, 해외 사용 등은 카드 소비 금액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배달앱과 같이 인정되지 않는 사용처보다는 동네 상권 위주의 현장 결제를 통해 소비하는 것이 좋다. 환급받은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상점가 등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온누리시장과 같은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는 식료품뿐만 아니라 가전·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땡겨요’와 같은 소상공인을 위한 배달앱에서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결제가 가능하여 활용도를 높였다.
상생페이백은 단순히 소비를 늘리는 것을 넘어, 어디에 얼마를 쓰고 있는지, 그리고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누릴 수 있는 혜택이 무엇인지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카드 소비액 증가에 따른 부담을 줄이고 지역 소비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상생페이백의 취지에 맞게 현명한 소비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소비자는 물론, 소상공인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상생페이백 사업을 통해 건강한 소비 문화가 확산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