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말의 올바른 사용과 보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행보에 나섰다. 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맞아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개최된 기념행사는 우리말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올바른 사용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채워졌다. 이 행사는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과 지역별 사투리의 소실 등 우리말을 둘러싼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는 ‘우리말 가꿈이’의 노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행사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올림픽공원 잔디밭에 설치된 부스에서 진행되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운영되었으며, 이는 참여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우리말과 친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사투리의 다양성을 체험하며 자신이 알고 있는 사투리나 고향 사투리를 지도에 직접 적어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은 ‘겉절이’를 뜻하는 ‘재래기’와 같이 지역별 특색 있는 단어들을 공유하며, 우리나라 지도에 다양한 사투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표했다. 또한, 대전에도 사투리가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는 등 지역별 언어적 특성을 쉽고 재미있게 알아가는 기회를 가졌다.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순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참여자들은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캘리그라피처럼 엽서를 꾸미며, 우리말을 익히는 아이들에게 좋은 경험이 될 것이라는 의견을 나누었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몇 차례 틀려도 성공할 때까지 기회가 주어져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정답을 맞힌 참여자에게는 우리말 가꿈이 전용 물티슈가 제공되었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의 뜻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 ‘한글에서 ‘한’이 크고 으뜸 된다는 의미’임을 배우며 단어 자체의 의미를 정확히 알지 못했던 점을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를 우리말로 바꾼다면 무엇이 될지 묻는 등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되는 외래어들을 우리말로 바꾸는 연습을 진행했다. 참여자들은 생각보다 어려움을 겪었지만, ‘가꿈이’ 회원들의 힌트 덕분에 ‘인스타그램’을 ‘누리소통망’으로, ‘태그’를 ‘언급’으로 바꿔 사용하기로 약속하며 우리말 사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히 우리말의 중요성을 알리는 것을 넘어, 외래어 사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를 우리말로 대체하려는 적극적인 실천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5개의 도장을 모으면 파우치를 선물로 받는 이벤트는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흥미를 유발했으며, 예상보다 다양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참여하여 우리말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었다. 행사장인 올림픽공원은 참여 후 가볍게 산책하기 좋은 공간 구성으로 행사 참여의 만족도를 더욱 높였다.
‘우리말 가꿈이’는 이번 행사를 통해 한글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20대 대학생들의 열정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큰 위로와 격려가 되었다.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도 10월 한 달간 다양한 형태의 기념행사가 열릴 예정이며, 참여자들은 사전에 행사 장소 및 날짜를 확인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평상시에도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지키는 문화가 하루빨리 형성되기를 기대하며, 내년에 다시 돌아올 한글날을 기다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