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시대, 조직의 데이터 관리 방식이 AI의 지능 격차를 좌우하는 핵심 요인이 되고 있다. 파편화된 정보만을 제공하는 조직과 모든 맥락과 참고 자료까지 공유하는 조직 간의 AI 활용 능력 차이는 상당할 것으로 분석된다. 대한민국 정부의 현재 데이터 관리 방식은 이러한 AI 격차를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 공공 부문에서는 데이터가 ‘D 드라이브’에 저장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데이터가 컴퓨터 포맷과 함께 사라질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과정에서 수많은 맥락, 암묵지, 업무 과정 등이 유실될 가능성이 크다. 결국, 미래의 공무원들이 활용해야 할 AI의 잠재력 역시 포맷과 함께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보고서 작성 방식 역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높은 직위에 있는 사람에게 올라가는 보고서는 짧고 간결해야 한다는 인식 하에 1페이지 보고서가 선호되고 있다. 연차가 높은 공무원일수록 1페이지 보고서를 능숙하게 작성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짬’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또한, 자간과 장평을 세밀하게 조절하고, 문장을 개조식, 즉 ‘음슴체’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러한 관행과 매우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세계 최고 수준의 AI를 개발하는 기업들은 ‘6 페이저(6 Pager)’라는 회의 규칙을 활용한다. 이는 6페이지 분량의 메모를 작성하여 공유하고, 회의 참석자 전원이 첫 30분간 이 메모를 읽는 데 할애하는 방식이다. ‘6 페이저’는 도입부, 목표, 원칙, 사업 현황, 교훈, 전략적 우선순위, 부록 등으로 구성되며, 목표와 원칙을 전면에 배치하여 방향성을 명확히 한다.
더 나아가, 아마존, 링크드인 등 많은 실리콘밸리 회사에서는 사내 회의에서 파워포인트(PPT)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제프 베이조스는 “파워포인트는 판매 도구이며, 내부적으로는 판매하고 싶지 않은 일”이라고 말하며, PPT의 불릿 포인트 뒤에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쉽다고 지적했다. 그는 서술 구조를 가진 완전한 문장으로 작성할 때 엉성한 사고를 숨기기 어렵고, 이는 더 나은 사고와 무엇이 더 중요한지에 대한 이해를 강제한다고 설명했다.
실리콘밸리의 협업 시스템은 클라우드를 기본으로 하며, 위키 엔진 기반의 게시판을 주로 사용한다. 대부분의 게시판은 공개를 원칙으로 하여, 모든 참가자가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문서를 공유하는 것을 넘어 ‘맥락’을 공유하는 것이며, 모든 논의 과정과 자료가 축적되어 있기에 업무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이러한 클라우드 기반의 공개 게시판 시스템은 개인이 만든 자료와 검토한 참고 자료가 조직 내에 고스란히 축적되도록 하여 AI 학습에 매우 유리한 환경을 조성한다.
따라서, ‘D 드라이브’에 파편화된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1페이지 보고서를 선호하는 현재의 공공 부문 관행은 AI의 잠재력을 제한하는 요인이 된다. 1페이지 보고서는 잉크값이 비싼 싸구려 잉크젯과 같아 전체적인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요한 결정이 필요한 보고서는 ‘음슴체’가 아닌 서술체로 작성해야 하며, 이는 더 나은 사고를 강제하고 AI 학습 및 맥락 공유에 백만 배 낫다고 강조한다. 대한민국 공무원들은 훨씬 더 뛰어난 AI를 활용할 자격이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관리 및 보고서 작성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한빛미디어 이사회 의장, KTH, 엠파스 등 IT 업계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녹서포럼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IT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2021년 동탑산업훈장을 수훈했으며, <눈 떠보니 선진국>, <박태웅의 AI 강의> 등의 저서를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