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명절이면 가족들이 모여 풍성한 음식을 나누는 즐거움 속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평소보다 많은 양의 음식을 준비하면서 ‘먹을 만큼만 적당히 만들어 남김없이 먹자’는 집안의 암묵적인 규칙은 쉽게 무너지기 마련이다. 이처럼 명절 기간에 급증하는 음식물 쓰레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가운데, 한국환경공단이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캠페인을 통해 전국민적인 동참을 호소하고 나섰다.
이 캠페인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급증하는 음식물 잔반을 의식적으로 줄이고, 낭비 없는 건강한 음식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특히, 이 행사는 무선인식(RFID) 종량제 후불제를 사용하는 세대를 대상으로 하며, 행사 포스터에 포함된 큐알 코드를 통해 무선인식 태그 인쇄 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환경 보호와 음식물 낭비 감소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이번 캠페인은, 음식물 쓰레기 감량을 통해 경제적, 환경적 이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국환경공단의 발표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하루 평균 1만 4천여 톤에 달하며, 이는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28.7%를 차지하는 상당한 비중이다. 더 심각한 것은 음식물의 7분의 1이 쓰레기로 폐기되면서 연간 20조 원 이상의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통계는 명절을 앞두고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얼마나 절실한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번 ‘추석 명절 음식물 쓱싹 줄이기’ 캠페인은 구체적으로 무선인식 음식물 쓰레기 관리시스템을 활용하여,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각 세대의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분석하게 된다. 이후 평상시 배출량과 비교하여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감량한 세대 중 50세대를 추첨하여 10월 30일에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미 RFID 종량제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이 감소한 경험이 있는 가정에서는, 이전보다 적은 수수료를 지불하며 낭비를 줄이는 뿌듯함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일반 음식물 쓰레기 전용 수거 용기를 사용할 때는 정확한 배출량 파악이 어려웠지만, RFID 태그가 부착된 전용 기기를 사용하면서 무게 측정과 함께 자동 체크가 가능해졌고, 배출량에 따른 수수료 부과는 자연스럽게 쓰레기 감량 노력을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캠페인과 더불어, 한국환경공단은 생활 속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들을 제시한다. 첫째, 장을 보러 가기 전 구매 목록을 꼼꼼히 작성하고 냉장고 재고를 미리 확인하여 불필요한 충동구매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충동구매는 곧 음식물 쓰레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남은 음식은 볶음밥이나 샐러드 등으로 재활용하여 건강한 집밥을 만드는 데 활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사소해 보이는 습관들이 모이고 쌓이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한국환경공단은 지난 3년간 명절 연휴 동안 RFID 종량제 사용 가정을 대상으로 진행한 캠페인을 통해 6,200톤의 음식물 쓰레기를 감량한 바 있으며, 이번 추석에도 많은 가정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감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추석 연휴가 끝난 이후에도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노력을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