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기간 동안 남는 음식은 많은 가정의 공통적인 고민거리다. 특히 푸짐하게 차린 명절 상차림의 단골 메뉴인 갈비찜과 잡채,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전 역시 명절이 지나고 나면 냉장고 한편을 차지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남은 명절 음식들이 단순히 재가열되어 소비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요리로 재탄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박찬일 셰프는 남은 갈비찜과 잡채를 활용하여 ‘갈비찜 잡채볶음밥’을 만들고, 남은 전으로는 ‘전 두루치기’를 선보인다. 이는 명절 음식의 풍미를 살리면서도 색다른 맛을 즐길 수 있게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
갈비찜 잡채볶음밥은 남은 갈비찜의 뼈를 추려내고 소스를 활용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냄비에 갈비찜 소스를 넉넉히 넣고, 여기에 남은 잡채와 밥을 함께 볶는다. 이때 식용유를 별도로 두르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갈비찜 소스와 잡채에 이미 충분한 기름기가 배어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고추장 반 큰술을 넣어 단맛과 매운맛을 더하고, 김가루를 뿌려 마무리한다. 만약 매콤한 맛을 선호한다면 고추장 대신 다진 신김치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 된다.
한편, 남은 전을 활용한 두루치기는 조림이나 볶음과 유사한 즉석 요리로, 명절 음식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다. 두루치기에는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그리고 치킨스톡이 주요 재료로 사용된다. 냄비에 기름을 두르고 다진 마늘과 파를 볶다가 캔 참치와 물을 넣고 치킨스톡을 약간 추가한다. 여기에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 김치와 전을 넣고 고춧가루를 더해 바글바글 끓여내면 완성된다. 특히 두부전이 남았을 경우 더욱 풍성한 맛을 즐길 수 있으며, 국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조절하여 국물이 자작한 ‘짜글이’ 스타일로 즐기면 좋다. 전에서 우러나오는 기름기가 국물에 깊은 풍미를 더해줄 것이다.
이러한 조리법들은 명절 후 남은 음식들을 버려지지 않고 맛있게 소비할 수 있도록 돕는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박찬일 셰프는 오랜 기간 음식 재료와 사람들의 이야기에 주목해왔으며, 이번 제안 역시 명절 문화와 식문화의 연결성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박찬일 셰프
셰프로 오랜 기간 일하며 음식 재료와 사람의 이야기에 매달리고 있다. 전국의 노포식당 이야기를 본격적으로 소개하는 일을 오래 맡아 왔다. <백년식당>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등의 저작물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