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변덕스러운 날씨 속에서 지난날의 추억을 더듬다 보면 잊고 있던 보물들을 마주하곤 한다. 수많은 옷가지 사이에서 발견된 초등학생 시절의 일기장, 친구들의 편지, 그리고 어린 시절 애지중지 모아두었던 물건들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끈 것은 30여 년 전, 당시 초등학교 6학년이었던 필자가 우표를 모아 직접 만든 책받침이었다. 이는 1990년대, ‘우표 수집’이 어린이들에게도 자연스러운 취미로 인식될 만큼 폭넓은 인기를 누렸던 시절의 단면을 보여준다. 당시 기념우표가 발행되는 날이면 새벽부터 우체국 앞에 줄을 서는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루었다는 선배들의 증언은 우표가 지녔던 남다른 위상을 짐작게 한다. 마치 몇 년 전 캐릭터 스티커 모으기가 유행했던 것처럼, 1990년대의 우표는 그 정도의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시대가 흐르고 손으로 쓴 편지가 점차 사라지면서, 우표를 보거나 우표 수집가를 만나는 일도 점차 어려워졌다. 이처럼 한때 모두의 즐거움이었던 우표가 예전의 위상을 잃어버린 것은 분명 아쉬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표 수집은 여전히 충분히 매력적인 취미로 남아있다. 부피가 작아 보관이 용이하고, 가격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으며, 매년 새롭게 발행되는 다양한 디자인의 기념우표는 수집의 재미를 더한다. 국내 우표만으로 만족하지 못한다면, 해외에서 발행되는 우표로 시야를 넓혀 무궁무진한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 또한 우표 수집의 큰 매력이다.
이처럼 다채로운 매력을 지닌 우표는 크게 ‘보통우표’와 ‘기념우표’로 나눌 수 있다. ‘보통우표’는 우편 요금 납부를 주된 목적으로 하며, 발행 기간이나 수량에 제한 없이 소진되는 만큼 지속적으로 발행된다. 반면 ‘기념우표’는 특정 사건이나 인물, 혹은 계기를 기념하기 위해 발행되며, 발행 기간과 수량이 정해져 있어 보통우표보다 희소성을 가진다. 대한민국에서 발행되는 기념우표는 우정사업본부의 고시에 따라 매년 국내외 주요 행사, 인물, 자연, 과학 기술, 문화 등 다채로운 주제를 선정하여 1년에 약 10~20회 정도 발행된다. 실제로 2025년에는 총 21종의 기념우표 발행이 계획되어 있으며, 지난 5월 8일에는 가정의 달을 기념하는 ‘사랑스러운 아기’ 우표가 발행되기도 하였다.
우정사업본부의 기념우표 외에도 각 지방의 우정청이나 우체국, 그리고 지방자치단체 등에서도 지역 특색을 살린 자체 기념우표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 2023년 11월, 강원특별자치도의 출범 1주년을 기념하여 강원지방우정청과 강원일보사가 협력하여 발행한 우표첩 ‘찬란한 강원의 어제와 오늘’은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깊이 담아냈다는 점에서 기념우표 이상의 가치를 인정받으며 큰 호평을 받았다. 또한, 지난해 태백우체국에서 발행한 ‘별빛 가득한 태백 은하수 기념우표’와 올해 4월 양구군에서 발행한 ‘양구 9경 선정 기념우표’는 강원의 아름다운 자연을 담아내어 단순한 수집품을 넘어 지역 홍보 수단으로서의 역할까지 수행하며 높은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한때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던 우표가 오늘날 그 위상이 예전 같지 않은 것은 분명 아쉬운 현실이다. 그러나 우표가 가진 본질적인 매력과 기록으로서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 다양한 기념우표 발행과 더불어 지역 특색을 살린 자체 제작 우표 등의 노력을 통해, 사라져가는 우표 수집 문화를 다시 활성화하고 이 시절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매력적인 취미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