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증 사진 한 장이나 익숙한 지인의 말투를 흉내 낸 메시지 하나로도 개인의 삶이 송두리째 흔들릴 수 있는 심각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생활 속 범죄’의 가장 큰 피해자는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으로, 이들에 대한 범죄 예방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거창한 첨단 기술이 아닌, 일상에서의 정보 공유와 교육을 통한 예방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이재우 강원지방우정청 주무관은 이러한 범죄의 위험성을 절감했던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했다. 작년 여름, 아침 식사를 마치고 자녀와 키즈카페를 다녀온 평범한 날, 어머니로부터 “핸드폰은 잘 샀니?”라는 예상치 못한 질문을 받았다. 딸의 말투로 온 카카오톡 메시지를 의심 없이 받아들인 어머니는, 딸이 보내달라는 대로 신분증 사진을 보내고 링크를 클릭했던 것이다. 이로 인해 어머니의 휴대전화에는 처음 보는 이상한 앱들이 다수 설치되었고, 해당 카카오톡 대화 내용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이 사건의 경위 파악 결과, 어머니는 ‘보이스피싱’의 표적이 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경찰서 민원실 방문 당시 토요일이라 신고 접수가 어렵다는 안내를 받고 집으로 돌아온 이 주무관 가족은, 민원실에서 받은 대처 방법 안내문을 바탕으로 긴급 조치에 나섰다. 우선 추가적인 신분증 도용을 막기 위해 신분증 분실 신고를 했으며, 경찰청 앱을 통해 악성 앱을 삭제했다. 또한 금융감독원에 개인정보 노출 사실을 등록하고 ‘웹세이퍼’,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털린 내 정보 찾기’ 등의 서비스를 통해 명의 도용 피해 여부를 확인했다.
그 결과, 어머니 명의로 대포폰 2대가 개통되었고 10개가 넘는 온라인 사이트에 가입된 사실을 확인했다. 더 심각한 것은 어머니의 원래 휴대전화 번호를 이용해 50만 원의 소액결제가 이루어졌다는 점이었다. 다행히 어머니가 인터넷뱅킹을 사용하지 않아 더 큰 피해는 막을 수 있었지만, 이 사고로 인해 어머니는 며칠간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할 정도로 큰 충격과 속상함을 겪었다. 이 주무관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보이스피싱’이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닌, 전화나 메시지 하나로 일상을 파고드는 ‘생활 속 범죄’가 되었음을 강조했다.
이처럼 디지털 소외 계층인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범죄 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한 우정사업본부는, 지난 4월부터 부산, 강원, 충청 등 농어촌 지역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우체국 디지털 교육’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하반기부터는 전국 농어촌 지역으로 교육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교육은 단순한 보이스피싱 예방법뿐만 아니라, 키오스크, 모바일뱅킹, ATM(현금인출기) 사용법 등 실생활에 꼭 필요한 디지털 활용 능력을 함양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록 소소하고 평범해 보일 수 있는 이러한 교육이, 신분증 한 장, 카카오톡 메시지 하나로도 개인의 삶이 위협받을 수 있는 이 시대에,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에게는 무엇보다 강력하고 확실한 방패가 되어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모아진다. 우정사업본부는 앞으로도 전국 곳곳에서 어르신들과 직접 만나 교육을 제공하며, 이러한 작은 노력이 나와 내 가족, 이웃, 그리고 우리 사회 전체를 지키는 든든한 보호막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