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편하게 OTT 서비스를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극장가를 찾는 발길이 점차 줄어들고 있었다. 비싼 영화 티켓 가격과 집에서의 관람 편의성은 많은 관객들이 극장 대신 안방극장을 선택하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가 민생 회복과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해 8일부터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 188만 장을 추가 배포하며 침체된 극장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번 6천 원 할인권 추가 배포는 지난 7월 25일부터 시작되었던 1차 할인권 450만 장 배포 이후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추진되었다. 1차 배포 시에도 영화 관람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 증가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화 할인권이 단순한 요금 할인 정책을 넘어, 관객들의 극장 방문을 유도하고 영화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는 1차 때와 달리 선착순으로 진행된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1차 때 할인 혜택을 받은 사람들도 별도의 다운로드 과정 없이 쿠폰함에 미리 담겨 있는 1인 2매의 할인권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어, 기존 회원들에게는 더욱 편리하게 다가간다. 신규 회원의 경우, 회원 가입 절차를 거치면 다음 날 쿠폰이 지급되므로 서둘러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번 할인권은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관객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는 영화를 폭넓게 선택하고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할인권 정책은 실제 극장가를 북적거리게 만드는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결과,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으로 나타나, 잠시 발길을 끊었던 관객들을 다시 극장으로 불러들이는 데 성공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누리집 및 애플리케이션 이용이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도 운영되어, 모든 연령대의 관객들이 영화 할인권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6천 원 영화 할인권 정책은 줄어들던 극장 관객 수를 다시 증가시키고, 다양한 유형의 영화관에 활력을 불어넣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집에서 영화를 보는 편리함 대신, 가족, 친구, 연인과 함께 극장에서의 경험을 선택하게 만드는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하며, 앞으로도 영화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