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후에도 행복한 노후를 보내기 위해선 노후자금 마련만큼이나 부부 화목이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은퇴 남성들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부부 갈등이 심화되고, 이는 중년 및 황혼 이혼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문제는 일본에서 이미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었으며, ‘남편재택 스트레스 증후군’이라는 용어까지 등장했다. 이는 퇴직한 남편이 집에 머무는 시간 동안 아내가 겪는 심리적·정신적 스트레스를 의미하며, 우울증, 고혈압, 천식, 공황장애 등 다양한 건강 이상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남편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병이라는 의미에서 ‘부원병(夫源病)’으로도 불린다.
이러한 부부 갈등의 배경에는 한국과 일본의 독특한 가족 문화가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남편이 현역으로 활동하는 동안 부부는 각자 다른 세계에서 살아왔다. 남편은 직장에 몰두하고, 아내는 가사와 자녀 양육에 전념하며 각자의 삶의 보람을 찾았다. 그러나 남편이 퇴직하여 매일 집에 있게 되면서, 이전에는 신경 쓰지 않았던 남편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이 아내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실제로 일본의 경우, 지난 20여 년간 전체 이혼 건수는 줄었지만 혼인 지속 기간 20년 이상인 중년·황혼 이혼 비율은 1990년 14%에서 2023년 23%로 증가했다. 퇴직 후 부부 갈등이 성격 차이, 경제 문제, 외도와 더불어 중요한 이혼 사유로 등장한 것이다.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일본의 상황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이혼율은 꾸준히 감소해 왔으나, 전체 이혼 건수에서 차지하는 중년·황혼 이혼 비율은 1990년 5%에서 2023년 36%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이는 퇴직 후 부부 갈등이 이혼율 증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언론 보도나 노후 설계 강의 현장에서도 퇴직 후 부부 갈등에 대한 고민을 흔히 접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의 노후 설계 전문가들은 퇴직을 앞둔 부부들에게 퇴직 후 부부 화목을 위한 특별한 노력을 당부하고 있다. 특히, 낮 동안에는 부부가 각자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것을 적극 권유한다. 일본의 노후 설계 전문가 오가와 유리 씨는 퇴직 후 가장 인기 있는 남편은 집안일을 잘 돕거나, 건강하거나, 요리를 잘하거나, 상냥한 남편이 아니라 ‘낮에는 집에 없는 남편’이라고 언급할 정도이다.
따라서 퇴직 후 노후자금 마련만큼이나 부부 화목이 중요하며, 부부 모두 낮 동안에는 수입을 얻는 일이든, 사회공헌 활동이든, 취미 활동이든, 혹은 이 세 가지를 겸한 활동이든 자신만의 시간을 갖도록 의식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이는 은퇴 후 맞닥뜨릴 수 있는 부부 갈등 문제를 예방하고, 행복하고 안정적인 노후를 보내기 위한 필수적인 준비 과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