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어머니 염색을 돕기 위해 염색약을 구매하던 중, 패키지 뒷면에서 예전에는 보지 못했던 QR코드를 발견했다. 이 QR코드는 바로 ‘화장품 e-라벨’이라는 새로운 모바일 화장품 정보 제공 사업과 연결되어 있었다. 화장품 패키지에 깨알같이 인쇄되어 있던 복잡한 상세 정보들이 이제는 QR코드 하나로 손쉽게 휴대폰에서 확인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제조사들의 패키지 공간 활용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나아가 친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화장품 패키지는 제품명, 제조 번호, 사용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확인하는 필수 정보와 함께 보관법, 성분 등 방대한 양의 추가 정보를 작은 글씨로 빼곡히 담고 있었다. 이로 인해 소비자는 필요한 정보를 읽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가독성이 떨어지는 정보 탓에 중요 내용을 놓치기 일쑤였다. 특히 시력이 좋지 않은 소비자들이나 급하게 제품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했다. ‘화장품 e-라벨’ 정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했다. 제품명, 제조 번호, 소비기한 등 소비자가 자주 찾는 핵심 정보는 글자 크기를 확대하여 패키지에 명확히 표기하고, 안전 정보, 사용법, 성분 등 부가적인 상세 정보는 QR코드를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소비자가 제품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화장품 e-라벨’ 사업은 2024년 3월 1차 시범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 말까지 2차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1차 시범 사업에서 6개사 19개 제품을 대상으로 긍정적인 소비자 피드백을 받은 것을 바탕으로, 2차 시범 사업에서는 염모제, 탈염 및 탈색용 샴푸 등을 포함한 13개사 76개 품목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시범 사업 운영 결과, 소비자들은 QR코드 스캔을 통해 큰 글씨로 제품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 점을 매우 편리하게 느끼고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시력이 좋지 않은 소비자를 위해 음성변환 기능(TTS) 도입까지 예정되어 있어,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 접근성 또한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화장품 e-라벨’은 소비자의 알 권리를 증진시키는 것을 넘어, 패키지 인쇄 면적을 줄여 포장재 자원 절약이라는 친환경적인 효과까지 가져온다. 이는 곧 폐기물 감소로 이어져 지속 가능한 소비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적 정보 제공 방식이기 때문에 유효기간이 없다는 장점도 있어,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시범 사업 대상 제품은 패키지 뒷면에서 “화장품 e-라벨 시범 사업 대상 제품입니다” 또는 “QR코드 스캔으로 상세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등의 문구를 통해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앞으로 ‘화장품 e-라벨’이 전면 확대된다면, 작은 글씨로 인해 정보 가독성을 해치던 기존의 불편함이 해소되고 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하고 현명한 화장품 구매 결정을 내리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