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릉과 궁궐을 연계한 여행 프로그램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이 오는 11월 10일까지 총 22회에 걸쳐 운영된다. 그러나 조선왕릉이 단순히 과거 왕들의 무덤을 넘어, 시대 변화와 역사적 격변을 담고 있는 살아있는 현장으로서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특히 최근 진행된 ‘순종황제 능행길’ 프로그램은 대한제국 시기 왕릉의 변화와 그 안에 담긴 역사적 맥락을 탐구할 기회를 제공하며, 이러한 문제의식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번 「2025년 하반기 왕릉팔(八)경」 프로그램은 구리 동구릉에서 시작하여 남양주 홍릉과 유릉까지 이어지는 여정을 통해, 조선 왕릉의 전통적인 제향 방식부터 대한제국 시기의 변화된 양식까지 폭넓게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참가자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조선왕릉의 역사적 의미와 제례 방식의 변화, 그리고 각 시대별 특징을 직접 배우고 느낄 수 있다.
동구릉은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을 시작으로 9기의 왕릉이 모여 있는 조선 최대 규모의 능역이다. 이곳에서는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다양한 시대의 무덤들을 통해 왕릉 구조와 제향의 의미, 그리고 능묘에 담긴 정치적 배경을 심도 있게 탐구할 수 있다. 특히 표석 설치의 기원과 전서체 사용의 배경은 예제에 대한 엄격함과 기억 보존 장치로서의 기능을 명확히 보여준다.
한편, 이번 여정의 핵심인 ‘순종황제 능행길’은 대한제국 황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1908년 순종 황제가 반포한 「향사리정에 관한 건」 칙령을 통해 제사 횟수가 축소되고, 한식에서 청명으로 제사 날짜가 변경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조선 왕릉 제례 방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오늘날까지 제사가 단절되지 않고 이어져 왔으며, 이는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태조 이성계의 건원릉 봉분을 뒤덮은 억새는 그의 유언과 후손들의 계승 의지를 보여주는 특별한 전통이다. 건원릉의 표석에 ‘대한 태조 고황제’로 기록된 점은 왕릉 제도와 예제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이며, 대한제국 시기에는 황제의 권위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능의 조영 방식에 변화가 나타났다. 홍릉과 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의 형식을 벗어나 대한제국 황릉의 양식을 따르며, 화려함 속에서도 주권을 빼앗긴 민족의 아픔이 깃들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왕릉팔(八)경」 프로그램은 단순한 유적 답사를 넘어, 조선 왕릉이 시대 변화와 역사적 사건들을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 깊이 있게 탐구할 기회를 제공한다. 참가자들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역사학자가 되어 문화유산을 지키겠다는 포부를 밝히는 모습은, 이 길이 과거를 되짚는 시간을 넘어 미래 세대가 역사를 기억하고 이어가는 방식을 묻는 중요한 자리임을 시사한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왕릉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그 뒤에 담긴 역사를 기억하고 외면하지 않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오늘날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