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디지털 기업들이 중동 시장에서의 실질적인 해외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젊은 인구 구조와 높은 성장률,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환경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중동 시장은 전략적 요충지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기업들은 그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중동 지역 진출의 관문으로 불리는 UAE는 한국 디지털 기업들의 해외 진출 수요가 매우 높은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현지 시장에 대한 이해 부족과 경쟁 심화 등으로 인해 그동안 실질적인 성과 창출에 난항을 겪어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한국 디지털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해외 판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민관 합동으로 중동 디지털 수출개척단을 파견했다. 지난 13일과 14일 이틀간 UAE 두바이에서 진행된 이번 활동은, GITEX Global 및 GITEX Expand North Star 전시회에 67개 한국 기업이 참가하여 한국 디지털 공동관을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참가 기업들은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차세대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전 세계 시장에 선보이며 한국 디지털 기업의 혁신 역량을 알리고 글로벌 판로를 넓히는 기회를 모색했다.
또한, 이번 수출개척단 활동의 주요 성과로는 한-중동 비즈니스 파트너십 행사를 통해 5건의 수출 계약과 기업 간 MOU를 체결하여 500만 달러 규모의 성과를 거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한국과 중동 간 디지털 협력의 높은 잠재력을 확인하고, 우리 기업이 중동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인피니트헬스케어의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계약 체결, 웨이즈원의 실시간 교통정보 통합관리 솔루션 및 포시에스의 스마트 페이퍼리스 솔루션에 대한 MOU 체결 등은 양국 간 협력의 폭을 넓히는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된다. 더불어 한-UAE AI 포럼을 개최하여 양국 간 AI 분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AI 반도체, 소버린 AI 생태계 구축, AI의 실질적 활용 방안 등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NIPA 김득중 부원장은 AI 분야 협력이 글로벌 인공지능 강국을 위한 혁신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퓨리오사AI 백준호 대표와 노타AI 김태호 CTO는 AI 반도체 및 AI 기술의 실질적 활용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했다.
정부는 이번 중동 지역 수출개척단 활동을 시작으로, 국내 AI·디지털 기업이 해외 홍보를 넘어 실질적인 계약 성과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지난 6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이어 이번 중동 지역까지의 성과를 언급하며, 앞으로도 글로벌 AI·디지털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이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러한 정부의 지원과 기업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결합된다면, 한국 디지털 기업들은 중동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안착과 지속적인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