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 위기가 현실화되면서,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관광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지역 스스로 관광 서비스의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여 우수 사례로 확산시키기 위한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앙 주도의 일률적인 정책에서 벗어나,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지역 주도형 체계로의 전환을 목표로 합니다.
이 사업은 지역의 관광 서비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과제를 발굴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관광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최근 이 사업의 일환으로 영덕군과 완주군이 선정되어 새로운 관광 방식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영덕문화관광재단은 대형 산불 참사 이후 감소한 외지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블루로드로 다시 오게’ 사업을 주관하며, 액티비티와 웰니스 체험 등 맞춤형 관광 요소를 제공하는 가성비 여행 상품을 기획했습니다. 블루로드 트레킹, 서핑, 맨발 걷기 체험 등이 포함된 이 프로그램은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을 제시합니다.
한편, 완주문화재단은 스쳐 가는 관광지가 아닌, 지역의 일상과 문화를 경험하는 체류형 관광 자원으로 전환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지역 먹거리와 마을 이야기를 담은 미식 체험형 프로그램 개발을 준비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의 숨겨진 매력을 발굴하고 관광객에게 깊이 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지역 주도형 관광 서비스 강화 사업은 군산항 여객터미널의 성공적인 재탄생으로 그 실효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20년 만에 부활한 군산항 여객터미널은 옛 모습을 최대한 재현한 복합문화공간 ‘군산항 1981 여객터미널’로 재탄생하여 시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체험, 휴식, 문화의 거점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옛 여객터미널의 정취를 살린 공간 디자인과 복고 감성의 매점 운영은 군산의 지역적 매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1층은 옛 여객터미널의 모습을 그대로 살렸으며, 2층에는 휴식 공간과 독립영화 상영관, 회의실 등을 갖춰 방문객들이 군산 내항을 조망하며 여유를 즐길 수 있도록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옥상 공간에서는 개관 행사로 어부의 일상을 보여주는 연극과 노래, 희망 종이비행기 날리기, 미션 스탬프 투어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군산항의 역사적 기억을 간직한 상징적인 장소가 지역 주도로 새롭게 태어나, 시민들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새로운 문화 공간으로, 관광객들에게는 항구의 매력을 알리고 지역 정체성을 되살리는 핵심 공간으로 거듭났음을 보여줍니다.
‘2025 지역주도형 관광서비스 경쟁력 강화 사업’에는 군산문화관광재단, 강원관광재단, 영덕문화관광재단, 완주문화재단, 대구문화예술진흥원, 경주화백컨벤션뷰로 총 6곳이 선정되어 각 지역의 고유한 색깔을 드러내는 문화 콘텐츠를 발굴하고 개발, 확산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이제 지역의 이러한 문화적 변화를 직접 체감하고 즐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한민국 곳곳에서 지역 고유의 매력으로 변화된 관광 서비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