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향유 기회 확대를 위한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가 시작되었으나, 지역 문화 활성화라는 본래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지난 9월 25일(목)부터 발행된 이번 할인권은 1차 때와 달리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이 추가되어 지역 주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의 이면에 숨겨진, 지역 문화 예술 생태계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 확보라는 근본적인 과제를 간과할 수 없다.
이번 2차 할인쿠폰은 전국 단위 할인쿠폰과 더불어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예매처가 네이버 예약, 클립서비스, 타임티켓, 티켓링크 등 일부에 한정된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은 공연 유형별로 각 2매씩 제공되며, 1매당 공연 15,000원, 전시 5,000원의 할인이 적용된다. 이는 전국 할인권보다 더 큰 폭의 혜택이지만, 1차 때와 달리 ‘매주 목요일’마다 재발행되는 방식은 이용자들이 할인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발급받은 쿠폰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사용해야 하며, 11월 27일까지 진행되는 이벤트 기간 동안 미사용 쿠폰은 자동 소멸된다.
이러한 할인쿠폰 정책은 분명 지역 주민들에게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특히 ‘처음 만나는 뱅크시 사진전’과 같이 서울·경기·인천 외 지역에서 개최되는 전시를 보다 저렴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제로 대구 북구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펙스코에서 진행된 뱅크시 사진전은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덕분에 정가보다 저렴하게 예매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작품과 굿즈 판매, 포토존, 체험 공간까지 갖추고 있어 방문객들에게 만족감을 선사했다. 뱅크시의 작품 세계와 사회 메시지를 담은 전시 콘텐츠 자체는 훌륭했지만, 이러한 양질의 문화 콘텐츠가 수도권에 집중되지 않고 지역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지원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2차 공연·전시 할인쿠폰 배포는 비수도권 지역 주민들의 문화 접근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측면이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이것이 단발적인 정책 지원에 그치지 않고, 지방 문화 예술 생태계의 자생력 강화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예매처 확대, 홍보 강화, 그리고 무엇보다 지역 특색을 살린 창의적인 문화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할인권이 지방 문화 거점 활성화와 더불어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향유하고 소통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