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는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가족, 나아가 국가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질병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미 2025년 현재, 97만여 명에 달하는 노인 치매 환자가 존재하며, 이는 20년 후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치매 인구 증가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사회가 직면해야 할 현실적인 문제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는 치매 관리가 개인이나 가족의 노력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으며, 국가적 차원의 체계적인 대응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국가적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은 ‘치매극복의 날’을 지정하고,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2011년 「치매관리법」 제정을 통해 범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노력해 왔으며, 올해로 제18회를 맞이한 치매극복의 날은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전국 256곳의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치매가 있어도 살기 불편하지 않은 나라,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치매 극복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중앙치매센터 누리집(nid.or.kr)은 이러한 국가적 비전과 함께 치매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 및 인식 개선을 위한 중요한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 사회에서도 치매 인식 개선 및 예방, 극복을 위한 다양한 행사들이 열리고 있다. 군산시 치매안심센터에서 개최된 ‘기억을 톡톡(talk talk) 토크콘서트’와 ‘치매극복 4행시 짓기 이벤트’는 시민들이 치매에 대한 정보를 얻고, 서로 공감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특히 토크콘서트에서는 지역 공공병원 협력 의사가 직접 강연하며, 치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데 기여했다. 많은 사람들이 드라마 등을 통해 접하는 치매가 실제로는 가벼운 치매가 더 많으며, 조기 진단과 약물 치료를 통해 충분히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사실은 치매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또한, 치매의 진행 과정이 시간, 장소, 사람의 순서로 나타난다는 점, 건망증과 치매의 명확한 구별법, 그리고 치매가 암보다 흔하다는 놀라운 사실 등은 치매에 대한 이해를 한층 높였다.
이처럼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관련 상담, 조기 검진, 그리고 치매 환자 치료 관리비 지원 등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치매가 의심되는 경우, 당황하지 않고 지역 치매안심센터를 방문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첫걸음이 될 것이다. 혼자서는 두려울 수 있는 치매이지만, 치매안심센터와 함께라면 극복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는 우리 사회가 치매 문제에 대해 더욱 적극적이고 포용적인 태도를 가져야 함을 강조한다. 치매에 대한 올바른 정보 습득과 인식 개선은 물론, 중년과 청년 시절부터 꾸준한 배움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노력이 개인과 사회 전체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