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치매’라는 현실적인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2025년 현재, 97만여 명에 달하는 노인 치매 환자는 20년 후 2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더 이상 일부 개인이나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전체가 풀어야 할 시급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국가적 문제 해결을 위해 2011년 「치매관리법」이 제정되었고, 매년 9월 21일은 ‘치매극복의 날’로 지정되어 치매 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범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도모하고 있다. 올해로 제18회를 맞이하는 치매극복의 날은 치매가 개인의 삶을 넘어 국가 시스템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을 보여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전국 256곳의 지역 거점 치매안심센터는 치매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적인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앙치매센터 누리집(nid.or.kr)이 제시하는 ‘치매가 있어도 살기 불편하지 않은 나라, 치매로부터 가장 먼저 자유로워지는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은 치매 환자와 그 가족, 그리고 공동체 모두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국가의 의지를 담고 있다. 실제로 제18회 치매극복의 날을 맞아 전국 지자체 치매안심센터에서는 치매 인식 개선과 예방, 극복을 위한 다양한 기념행사가 열렸다. 시민들이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었던 ‘기억을 톡톡(talk talk) 토크콘서트’와 ‘치매극복 4행시 짓기 이벤트’는 치매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해소하고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데 기여했다.
치매극복 4행시 짓기 행사에서 “치매, 혼자는 두렵지만 함께라면 극복할 수 있습니다.”라는 문장은 치매 극복에 있어 개인의 노력뿐 아니라 가족, 공동체, 그리고 국가의 지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지역 도서관에서 열린 토크콘서트에서는 지역 공공병원 협력 의사가 강연에 나서 치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았다. 흔히 드라마에서 접하는 심한 치매 상태와 달리, 치매 환자의 대부분은 가벼운 치매이며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설명은 참가자들에게 큰 희망을 주었다. 또한, 치매의 진행 과정이 시간, 장소, 사람 순서대로 나타나며, 건망증과 달리 시간이 지나면 악화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는 구체적인 정보는 치매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치매안심센터에서 제공하는 치매 관련 상담, 조기 검진, 그리고 치매 치료 관리비 지원 등은 치매 의심 시 가장 먼저 방문해야 할 곳이 바로 치매안심센터임을 명확히 한다.
이처럼 치매는 더 이상 개인이나 가족의 고통으로만 치부될 수 없는 사회적 질병이며, 국가가 주도하는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을 통해 극복해나가야 할 문제이다.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정책과 인식 개선 노력은 치매 환자와 그 가족들이 두려움 속에서 벗어나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개인의 올바른 정보 습득과 적극적인 참여, 그리고 국가의 지속적인 지원이 조화를 이룰 때, ‘치매 걱정 없는 대한민국’이라는 비전은 더욱 현실화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