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가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최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지난 7월 전망보다 0.1%p 상향 조정했으나, 여전히 1%를 하회하는 수치다. 이는 한국 경제가 당면한 구조적인 어려움과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전망하며, 이는 미국발 관세 인하·유예에 따른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 등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하지만 한국 경제는 이러한 글로벌 환경 개선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반등 모멘텀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IMF는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제시하며, 이는 올해 전망치보다 대폭 상향된 수치다. IMF는 이러한 전망이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6%로 상향 조정하고,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올해 4.2%, 내년 4.0%로 전망하는 등 글로벌 경제의 점진적인 회복세를 예측하는 가운데, 한국 경제의 내년 성장 전망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하며,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에 따른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주요 하방 요인으로 꼽았다. 또한,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개혁 노력 가속, AI 도입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분석은 한국 경제가 내년 1.8% 성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내적인 구조개혁 노력을 강화하고, 외부 충격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한국 경제가 IMF의 긍정적인 전망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정책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