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제시했던 수치보다 0.1%p 상향 조정했다. 특히 내년에는 올해 대비 대폭 높은 1.8% 성장을 예측하며, 이는 우리 경제가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기대를 보여준다. 이러한 한국 경제 전망은 복잡하게 얽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 제시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IMF가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전 세계 경제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 조치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올해 성장률을 3.2%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보다 0.2%p 높은 수치이며,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IMF는 이러한 낙관적인 전망의 배경으로 경제 주체들의 유연한 대처 능력과 주요국들의 정책적 노력을 꼽았다.
한국 경제의 경우, 올해 0.9% 성장은 지난 전망보다 0.1%p 상향 조정된 수치이며, 내년 1.8% 성장은 올해 성장률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이는 단순히 숫자의 상승을 넘어, 한국 경제가 회복세를 보이며 본연의 성장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IMF의 분석을 담고 있다. 한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지난 전망보다 0.1%p 상향 조정되었으며, 내년 역시 1.6%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성장률이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씩 상향 조정되어 각각 2.0%, 2.1%로 예측되었다. 신흥개도국 그룹에서는 중국,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 국가의 올해 성장률을 4.2%로 상향 조정했으며, 내년에는 4.0%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으로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의 부정적인 영향을 희석시키며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4.8%와 4.2%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글로벌 물가상승률은 전반적으로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점차 완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더 무게가 실려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이 제시되었다. 다만, 무역 갈등이 완화되고 각국이 구조 개혁 노력을 가속하며 AI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덧붙였다. 이러한 다양한 변수 속에서 한국 경제의 내년 1.8% 성장은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며,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글로벌 경제 상황의 변화가 한국 경제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