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9일 목요일, 한글날을 맞아 대학생 연합 동아리 <우리말 가꿈이>가 서울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특별한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된 이 행사는 외래어 사용 증가와 우리말 경시 풍조라는 심각한 문제의식 속에서 한글의 아름다움과 올바른 사용을 알리기 위해 기획되었다. 잔디밭 위에 마련된 부스들은 방문객들에게 우리말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기회를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행사의 근본적인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우리말이 점차 소외되고 외래어가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현상에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한글의 고유한 가치와 의미가 희석될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말 가꿈이>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우리말 겨루기, ▲공공언어 개선 캠페인, ▲사투리 퀴즈, ▲사진 체험관 등이 운영되었다. ▲<사투리 어디까지 알아?> 부스에서는 지역별 다양한 사투리를 지도 위에 직접 적어보고 공유하며 우리말의 풍성함을 느낄 수 있었다. ▲<열쇠고리랑 엽서랑> 부스에서는 마음에 드는 순우리말을 골라 엽서를 꾸미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말 겨루기> 부스는 올바른 문장을 고르는 게임 형식으로 진행되어 참여자들이 틀려도 성공할 때까지 기회를 제공하며 우리말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왔다. ▲<우리말 가꿈이랑 친구 맺자> 부스에서는 ‘한글’이라는 단어 자체에 담긴 깊은 뜻을 알아보며 한글에 대한 존경심을 고취시켰다. ▲<사랑하자 공공언어> 부스에서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나 태그해 줘’와 같은 일상적인 문장을 우리말로 바꾸는 훈련을 통해 무심코 사용하던 외래어를 우리말로 대체하는 연습을 했다. 이 부스들은 참여자들에게 외래어 사용의 심각성을 인지시키고, 우리말을 일상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하도록 독려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러한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확산된다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우리말에 대한 관심과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점차 희석되는 한글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우리말이 공공장소와 일상생활에서 더욱 올바르고 풍부하게 사용되는 문화가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우리말 가꿈이>의 한글날 기념행사는 단순히 기념일을 축하하는 것을 넘어, 우리말의 보존과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또한, 전국 22곳의 국어문화원에서 10월 한 달간 다양한 형태로 한글날 기념행사가 이어질 예정이어서, 우리말을 아끼고 보존하려는 노력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