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가 우리 사회의 일상이 된 가운데, 관련 정보의 파편화와 낮은 접근성이 그동안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각 기관별로 흩어져 제공되던 폭염, 홍수, 가뭄 등의 예측 정보와 이에 따른 농수산물 생산량 변화, 재배 환경 변화 등 기후위기 적응에 관한 핵심 정보들을 국민들이 한눈에 파악하고 쉽게 활용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러한 정보 접근성의 한계는 기후위기에 대한 국민들의 능동적인 대응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이에 정부는 이러한 정보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플랫폼’을 구축하고 운영할 예정임을 밝혔다. 이는 기존의 ‘기상정보 관리체계’를 ‘기후위기 감시예측 관리체계’로 확대·개편하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법)’ 시행령 개정안의 핵심 내용이다. 그동안 기상청은 기상 현상 관측 및 예보에 초점을 맞춘 기상정보 관리체계를 운영해왔지만, 빈번해지는 이상·극한기후 현상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이번 개정을 통해 이상·극한기후를 감시하고 예측하며, 지역별·분야별 기후위기 현황과 미래 변화 경향까지 제시할 수 있는 통합적인 관리체계 구축의 제도적 기반이 마련된 것이다.
이번에 구축될 ‘기후위기 적응정보 통합플랫폼’은 올해 물환경 및 해양수산 분야를 시작으로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구축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폭염, 홍수, 가뭄 등 각종 기후위기 예측 정보와 그 영향에 대한 적응 정보를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을 활용하여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일반 국민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 분야의 종사자들도 필요한 정보를 더욱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기후위기 적응 역량을 강화하고,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사회 전반의 실행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