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가 0.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예측보다 0.1%p 상향 조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눈에 띄는 반등이며, 내년에는 1.8%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전망은 기획재정부가 10월 14일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 담긴 내용이다.
IMF는 세계 경제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신호를 감지하며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2%p 높은 수치다. 이러한 상향 조정의 배경에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 조치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경제 주체들의 양호한 적응력,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한국 경제의 경우, 이러한 글로벌 경제 흐름 속에서 잠재 수준의 정상 성장 궤도로 복귀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이 담겨 있다.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 또한 지난 전망보다 0.1%p 높은 1.6%로 수정되었으며, 내년 전망은 1.6%로 유지되었다. 구체적으로 미국은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성장률이 0.1%p씩 상향 조정되어 각각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신흥개도국 그룹 역시 올해 성장률이 0.1%p 높아진 4.2%로 전망되었으며, 내년 성장률은 4.0%로 유지되었다. 중국은 조기 선적 및 재정 확장 정책이 무역 불확실성의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면서 당초 전망치인 4.8%(올해)와 4.2%(내년)를 유지했다.
한편, 글로벌 물가 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로 전반적인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IMF는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여전히 하방 요인에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시장 불안,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지만 무역 갈등 완화,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화,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이 이루어진다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