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글이 단순한 소통 수단을 넘어 K-문화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확산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현재 세계 87개국에 설치된 세종학당에서 14만 명 이상의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한국 문화를 접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글이 더 이상 한국만의 문자가 아님을 명확히 보여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글과 한국어의 세계적인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이를 통해 문화를 공유하며 미래를 이끌어갈 강력한 언어 및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절실하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 확산을 통해 언어의 명확성과 접근성을 높이는 동시에,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세종학당의 운영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더 나아가,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활용한 다양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한글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에 맞춰 한국어 기반의 언어 정보 자원 구축을 확대하여 미래 기술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다가오는 APEC 행사를 ‘초격차 K-APEC’으로 만들어 한글을 비롯한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적 노력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한국어와 한글은 더욱 많은 세계인에게 사랑받는 문화의 원천이 될 것이다. K-팝의 가사, 한국 드라마와 영화의 풍부한 표현력을 통해 전 세계 팬들과 감동을 나누는 현재를 넘어, 유튜브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어를 배우고 즐기는 세계 청년들의 모습이 더욱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 이는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을 더욱 증대시키고, 국제 사회와의 문화적 교류를 심화하며, 한국의 국가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