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한글이 더 이상 우리만의 유산이 아닌, 전 세계 문화 교류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은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화적 영향력 확대라는 과제를 명확히 보여준다. 전 세계 87개국 세종학당에서 14만 명이 넘는 외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며 K-문화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증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흐름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더욱 확산하기 위한 체계적인 정책적 뒷받침은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K-문화의 원천으로서 한글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이를 세계화하기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김 총리는 한글이 창제 원리와 시기, 창제자가 분명히 알려진 세계 유일의 문자로, 인류의 빛나는 지적 성취로 평가받는다는 점을 언급하며 한글의 우수성을 역설했다. 또한, 세종대왕의 백성을 향한 사랑과 포용, 혁신의 정신이 담긴 한글의 탄생 배경을 설명하며 문자로서의 우수성을 넘어선 인류애적 가치를 조명했다. 이는 한글이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문화적 정체성과 가치를 담는 그릇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한글의 위대함과 더불어, 일제 강점기 속에서도 우리 말과 글을 지켜낸 선조들의 헌신적인 노력은 오늘날 한글이 민족의 정신을 지탱하는 버팀목이 될 수 있었던 중요한 기반임을 강조했다. 김 총리는 특히 주시경 선생의 한국어 연구와 한글 맞춤법 기틀 마련,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희생적인 노력을 언급하며 민족의 혼이 담긴 한글을 지켜낸 선조들의 발자취를 기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부는 이러한 한글의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바탕으로 K-문화의 원천으로서 한국어와 한글을 더욱 발전시키고 세계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언론과 뉴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바르고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확산하여 내실을 다지는 동시에, 전 세계 87개국에 운영 중인 세종학당을 더욱 확대하여 더 많은 세계인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한글을 활용한 상품의 개발, 전시, 홍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한글의 실용적인 가치를 높이고, 인공지능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한국어 기반 언어정보 자원 구축 확대에도 힘쓸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최근 APEC 정상회의를 ‘초격차 K-APEC’으로 만들기 위한 막바지 준비와 함께, 한글을 비롯한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창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들이 결실을 맺는다면, 한국어와 한글은 K-팝, K-드라마, K-영화 등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K-문화의 든든한 기반이 되어 문화적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 한국과 세계를 잇는 문화적 가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