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기간 동안 전국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으나,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 강화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연휴 동안 119 상담 건수는 평시 대비 73.8% 급증하며, 시민들의 의료 접근성에 대한 높은 수요를 보여주었다. 특히 병의원 안내, 질병 상담, 응급처치 지도 등의 상담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과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중추적인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며, 질병 상담 및 응급처치 지도 등을 통해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줄이고자 노력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소방청은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전국 20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간호사 및 1급 응급구조사 등 전문 상담 인력을 204명(60.4%) 보강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또한, 수보대를 하루 평균 29대(34.5%) 증설하여 상담 전화 응대 능력을 향상시켰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는 의료기관의 병상 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구급 현장과 의료기관 간의 신속한 병원 선정과 중추적인 조정 역할을 수행했다. 질병 상담과 응급처치 지도 등을 통해 의료기관 이송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비응급 환자에게는 가정 내에서 가능한 응급 대처 방법을 안내함으로써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꾀했다.
이러한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역할 강화와 의료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 체계는 생명이 위급한 중증 응급환자의 소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구체적인 사례로, 경북에서는 진료 병원을 찾지 못한 소아 환자들을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진료 가능한 병원으로 선정하여 소방헬기를 통해 긴급 이송하는 데 성공했다. 충북과 전북에서는 조산 위험이 있는 임신부를 신속하게 이송하고 구급차 내 출산을 지원하여 산모와 신생아의 생명을 지켰다. 또한, 전남 흑산도에서는 뇌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를 해경과 협력하여 육지 병원으로 이송, 골든타임 내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했다. 이러한 협력은 환자 상태에 따른 119구급대나 119구급상황관리센터의 병원 선정 주체 명확화와 같은 제도 개선 추진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앞으로 현장 구급대원의 신속한 병원 이송을 지원하고, 의료기관이 환자를 우선 수용하여 필요한 조치 후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체계로 개선될 경우,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인 응급 이송 체계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많은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긴 연휴 기간에도 지자체와 유관기관의 협력으로 안정적으로 대응했다”며, “불안을 줄이고 신속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응급 이송 체계 고도화와 관련 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