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한 도시 생활 속에서 잠시 숨을 고를 틈도 없이 바쁜 일상을 이어가는 시민들이 많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문화 향유 기회가 줄어들고, 문화 예술은 특정 공간이나 시간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기 쉽다. 국립극단이 이러한 문화적 소외감을 해소하고 시민들에게 일상 속 예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한낮의 명동극’이라는 이름의 거리 예술 공연을 마련했다. 이는 단순한 공연을 넘어,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을 자연스럽게 만나고 문화적 휴식을 얻을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거리 예술 공연은 8월 20일부터 10월 29일까지 매주 수요일 정오, 명동예술극장 야외마당에서 펼쳐진다. 서커스, 인형극, 마임, 연희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특히, 점심시간을 활용해 도심 한복판에서 예술을 만날 수 있다는 점은 바쁜 직장인이나 관광객에게도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한다.
실제로 지난 8월 27일, ‘문화가 있는 날’에 열린 인형극 <곁에서> 공연 현장은 이러한 기대감을 현실로 보여주었다. 공연 시작 안내 방송이 울려 퍼지자 명동 거리를 걷던 시민들의 발걸음이 멈추었고, 처음에는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보던 이들이 점차 공연에 몰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무대에는 단 한 명의 연주자만이 있었지만, 아름다운 가야금 선율과 다양한 소품들을 활용한 섬세한 연출은 야외 마당을 몰입감 넘치는 작은 극장으로 변화시켰다. 그림을 그리거나 가야금 현을 자르는 듯한 과감한 연출은 관객들의 뜨거운 호응을 이끌어냈으며, 연주자가 관객에게 말을 걸고 배역을 부여하며 공연에 직접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무대와 객석의 경계가 허물어졌다. 이는 단순한 관람을 넘어 공연의 일부가 되는, 일상 속에서 짧지만 강렬한 예술 경험을 선사하며 특별한 기억으로 남게 했다. 아이와 함께 공연을 관람한 한 시민은 “예상치 못한 선물을 받은 기분”이라며 만족감을 표하기도 했다.
이러한 거리 예술 공연은 ‘문화가 있는 날’의 취지와도 맥을 같이 한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운영되는 ‘문화가 있는 날’은 국민들이 일상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낮의 명동극’과 같은 거리 공연은 극장이라는 물리적 공간의 문턱을 낮추고, 시간 제약으로 인해 공연 관람이 어려웠던 다양한 관객층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예술은 더 이상 특정 계층이나 시간의 전유물이 아닌, 시민들의 삶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다. 공연 시간은 작품별로 20~40분 정도로 구성되어 점심시간을 알차게 활용하기에 적합하며, 별도의 예매 절차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다만, 폭우 예보 시에는 공연이 중단되거나 취소될 수 있다.
국립극단은 ‘한낮의 명동극’ 외에도 ‘365일 열려있는 극장’을 표방하며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화요일 오후 7시 30분에는 ‘명동人문학’ 강연 프로그램을, 매월 넷째 주 토요일 오전 11시에는 명동예술극장의 역사와 연극 제작 과정을 엿볼 수 있는 ‘백스테이지 투어’를 제공하는 등 무료 또는 유료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의 문화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남은 ‘문화가 있는 날’ 공연으로는 9월 24일과 10월 29일이 있다. 만약 명동 방문이 어렵다면, ‘지역문화통합정보시스템’ 누리집을 통해 전국 각지에서 제공되는 ‘문화가 있는 날’ 혜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곳에서는 할인 혜택, 국공립 시설의 무료 및 연장 개방 정보, 도서관의 ‘두배로 대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항목별로 구분되어 있어 자신의 상황에 맞는 문화 혜택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일상 속 작은 무대에서 만나는 예술은 잠시 쉼표가 되어줄 소중한 선물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