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제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으며 산업 현장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AI 기술의 빠른 발전 속도와 다양한 산업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1회 산업 AI 엑스포’가 9월 4일부터 6일까지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어 산업 현장의 AI 적용 현황을 조망하고 미래 가능성을 제시하는 장을 마련했다.
이번 엑스포는 ‘AI와 산업의 융합, 새로운 산업혁명을 이끌다’라는 주제 아래 국내 100여 개 기업이 참여하여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되는 다양한 AI 솔루션을 선보였다. 특히, ‘피지컬 온 디바이스 AI 도슨트 투어’는 AI가 하드웨어에 탑재되어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주며 참관객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투어는 AI 개발 환경 구축을 위한 워크스테이션부터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 및 운송 로봇에 이르기까지 총 6가지 코스로 구성되었다. HP 코리아는 고성능 CPU와 GPU를 탑재한 데스크톱과 영상 텍스트 인식 기술인 VLM을 시연하며 AI 개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모빌린트는 기존 GPU 대비 AI 연산에 훨씬 최적화되어 전력 비용을 60%까지 절감할 수 있는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소개했다.
로봇 분야에서는 에이 로봇의 휴머노이드 로봇 ‘에릭스’가 주사위 게임과 물통 전달 등 다양한 동작을 선보였으며, 클레비는 초거대 언어 모델 기반 AI를 드론과 로봇에 적용하여 사람의 동작을 그대로 복제하는 시연을 통해 AI의 활용 가능성을 증명했다. 가이드 설명에 따르면, 휴머노이드 로봇은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지만, 배터리 문제로 인해 실제 현장에서는 로봇 팔 형태의 로봇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스포티는 제조 공정 로봇 팔에 적용되는 AI 기술을 통해 평면뿐 아니라 곡면에서도 나사를 정확하게 체결하는 시연을 선보이며, 소량 맞춤 생산 시스템에 적합한 AI의 뛰어난 대처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농업 분야에서는 ‘일로’라는 블루베리 운송 로봇을 통해 AI가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엑스포에는 다양한 AI 활용 사례가 소개되었다. 딥랩스는 사용자가 그린 그림과 챗봇 대화를 통해 동화책을 즉석에서 만드는 생성형 AI 서비스 ‘Story Tailor’를 선보여 창의적인 AI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경환 대표는 AI를 통해 세계적인 지능들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감탄했다고 밝혔다. 또한, AI는 제조 전 과정에서 생산 부품 최적화, 품질 예측, 안전 관리 등에 활용되며, 디지털 트윈 기술과 결합하여 사무실에서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사고를 예방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AI 기술의 발전은 ‘산업 AI’가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안전과 정확성을 바탕으로 제조업의 미래를 든든하게 뒷받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산업 AI 엑스포를 통해 AI는 더 이상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닌, 이미 우리 산업 현장에 깊숙이 들어와 인간의 판단을 돕고 예측 불가능한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9월 8일 출범한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를 필두로 정부의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번 엑스포에서 보여준 산업 AI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은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