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시장에서 한국의 디지털 기술 경쟁력을 알리고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기 위한 노력이 중동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이 중동 디지털 시장의 높은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는 데는 아직 넘어야 할 과제가 존재하며, 이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 강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지난 13일과 14일 이틀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민관합동으로 중동 디지털 수출개척단 활동을 펼쳤다. 이번 활동에는 총 67개 국내 기업이 참여하여 인공지능(AI)을 비롯한 차세대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선보였다. 이들 기업은 GITEX Global과 GITEX Expand North Star에 한국 디지털 공동관을 운영하며 한국 디지털 기업의 혁신 역량을 세계에 알리고 글로벌 판로를 넓히는 데 집중했다.
이번 수출개척단 파견은 단순한 전시회 참여를 넘어, 중동 시장의 높은 성장 잠재력과 우리 기업들의 해외 진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중동은 젊은 인구 구조와 높은 성장률, 그리고 적극적인 투자 유치 환경을 바탕으로 디지털 전환 투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전략적 요충지로 평가받는다. 특히 UAE는 중동 지역 진출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어 우리 디지털 기업들에게 매우 중요한 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진행된 한-중동 비즈니스 파트너십 행사에서는 5건의 수출계약과 기업 간 양해각서(MOU) 체결을 통해 500만 달러 규모의 성과를 달성했다. 이는 한국과 중동 간 디지털 협력의 높은 잠재력을 확인하는 동시에, 우리 기업들이 중동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인피니트헬스케어는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계약을 체결했으며, 웨이즈원과 포시에스는 각각 실시간 교통정보 통합관리 솔루션 및 스마트 페이퍼리스 솔루션에 대한 MOU를 체결하며 양국 간 협력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한-UAE AI 포럼도 개최되어 양국 디지털 기업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득중 NIPA 부원장은 개회사에서 “AI 분야에서의 양국 협력은 글로벌 인공지능 강국을 위한 혁신 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AI 반도체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양국이 소버린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역설했으며, 김태호 노타AI CTO는 AI가 중동 지역에서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실질적 도구로 활용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하며 높은 관심을 이끌어냈다.
수출개척단 활동의 일환으로, 지난 6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이어 중동 지역까지 해외 홍보를 넘어 실질적인 계약 성과를 확대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앞으로도 글로벌 AI·디지털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는 한국 디지털 기업들이 중동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안착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노력들이 실질적인 결실을 맺으면서 중동 시장은 한국 디지털 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앞으로도 중동 시장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지원 전략 마련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