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문화가 로컬의 요소를 차용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창조하는 현상이 주목받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이러한 흐름의 대표적인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케데헌’은 기존 한류 현상에 새로운 차원을 더하며 전 세계 언론의 문화 비평을 이끌고 있다. 하지만 ‘케데헌’의 성공 뒤에는 한국 문화산업의 제작 방식으로는 실현하기 어려웠을 창의적인 캐릭터 활용과 원본에 대한 집착 없이 극대화된 소통 능력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로컬 콘텐츠를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는 모범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케데헌’이 문화적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그 개방적인 구조에 있다. 수많은 로컬버전을 파생시킬 수 있는 구조 덕분에 ‘케데헌’은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서 재해석될 여지를 남긴다. 특히, 이 애니메이션은 북미의 한인 2세 원작자와 제작자들이 참여하여 한국인 디아스포라와 그들의 역사적 경험이라는 독특한 서사 자원을 발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는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과 세계사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디아스포라의 역사를 조명하며, 한류를 넘어 한국의 미래가 한인 디아스포라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던진다.
더욱이, ‘케데헌’은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적 특성을 통해 탈식민적 세계화의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 그동안 K팝은 아이돌의 ‘아시아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팬덤 영역에 머무르는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형식은 이러한 인종주의적 복잡함을 벗어나 전 세계 시청자들이 편안하게 몰입하고 코스프레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현재 플레이브나 이세계 아이돌과 같은 버추얼 아이돌 그룹의 해외 활동은 K팝 문화 속에서 캐릭터 문화와 서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며, ‘케데헌’의 캐릭터들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세계관을 갖춘 채 글로벌 K팝 무대에 데뷔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K팝 문화에서 그룹의 서사는 멤버들의 변별적 정체성을 구축하고 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핵심 요소이다. ‘케데헌’은 인간 세계를 보호하려는 이중 정체성의 주인공들과 인간적이고 공동체적인 세계관을 가진 걸그룹 및 보이그룹을 등장시켜, 디즈니의 공주 이야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성장 스토리, DC 및 마블 유니버스의 우주 대전쟁과 비교했을 때 이국적이면서도 매력적인 차별점을 제시한다. 이는 현재 중요해진 가치 지향성의 글로벌 문화 환경 속에서 ‘케데헌’의 서사가 더욱 빛나는 이유이다.
수많은 프리퀄과 시퀄로 확장될 가능성을 지닌 ‘케데헌’의 서사는 동시대적인 스토리 라인과 결합하여 로컬 귀신들과의 싸움을 통해 새로운 로컬 버전을 끊임없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형식적, 서사적 가능성은 ‘케데헌’이 한국인 디아스포라의 독특한 경험과 애정을 녹여내어 글로벌 시장과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문화적 중재’의 성공적인 사례임을 입증한다. ‘케데헌’은 단순히 K팝의 인기를 넘어, 다른 세계로의 문을 열며 한류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홍석경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장은 한류 연구자로서 기호학적 관점을 바탕으로 세계 속 의미 생산을 탐구하고 있다. 그는 <세계화와 디지털문화시대의 한류>, <드라마의 모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