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가계 자산이 통계상으로는 일본을 앞서는 부유한 구조를 보이지만, 실제 노후 대비에는 심각한 불안 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가계 자산의 75%를 부동산이 차지하고 금융자산은 25%에 불과한 극단적인 부동산 편중 현상은 은퇴 후 삶의 안정성을 크게 위협하는 근본적인 문제로 지적된다. 이는 한국의 급속한 고령화 및 인구 감소 추세와 맞물려 부동산 가격 하락 시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이러한 부동산 자산 편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문가들은 퇴직 무렵에는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비중을 각각 50% 수준으로 맞추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제언한다. 현재 자산 대부분을 부동산에 묶어둔다면, 가계의 재정 유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자산 가치 하락에 대한 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기준 한국의 가구당 순자산 62만 달러(약 8억 4800만 원)와 시장환율 기준 44만 3000달러(약 6억 6000만원)라는 수치는 겉보기에는 일본(구매력평가환율 52만 2000달러, 시장환율 42만 1000달러)을 앞서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자산 구성의 질적 차이를 간과한 결과이다. 일본 및 미국의 경우 가계 자산의 60~70%를 금융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어 경제 변동성에 대한 대응력이 훨씬 높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토지 자산 규모에서도 유사한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2023년 기준 한국의 토지 자산 규모는 1경 2093조 원으로, 남한 면적의 약 4배에 달하는 일본의 토지 자산 규모(약 1경 1593조 원~1경 2941조 원)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는 곧 한국의 땅 한 평 가격이 일본의 네 평 가격과 맞먹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1980년대 후반 극심한 부동산 버블을 경험했던 일본의 사례와 비교했을 때 현재 한국 부동산 시장의 과열 가능성을 시사한다. 당시 일본은 도쿄만 팔아도 미국 전체를 살 수 있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했지만, 이후 인구 감소, 고령화, 경제 불황 등으로 인해 택지 지가지수가 1991년 290에서 2012년 102까지 폭락하는 경험을 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인들은 ‘집 없으면 어때? 빌려 살면 되지’라는 인식이 확산되며 내 집 마련에 대한 집착이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한국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무리한 대출을 감수하며 집을 사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도시화율은 90%를 넘어 세계 최상위권이며, 저출산 및 고령화 또한 과거 일본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는 향후 10~20년 후 노후 대비 관점에서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 구조가 심각한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것임을 예고한다. 따라서, 강창희 행복100세 자산관리연구회 대표는 과도한 부채를 안고 주택을 구입하는 행위를 특히 경계해야 하며, 노후 대비 자산관리의 핵심 원칙은 재산을 한 곳에 집중시키지 않고 부동산 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여나가 금융자산 비중을 늘려가는 것임을 강조하며, 이러한 원칙 준수가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필수 조건임을 역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