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다각적인 정책 발표가 이어지고 있지만, 국민들의 체감 경기 회복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특히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가계 부담이 늘어나고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국민들의 소비를 촉진하고 내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들을 선보이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상생소비복권’은 기존의 소비 촉진 정책과는 다른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민생 경제 활성화를 강조하며 다양한 소비 진작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중 하나로 2025년 7월부터 시행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1차와 2차로 나뉘어 진행됐다. 1차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회복과 성장의 마중물’ 정책으로 추진되었으며, 9월 말에는 2차 신청이 예정되어 있었다. 2차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전 국민에게 1인당 10만 원의 소비쿠폰을 지급하는 방식이었다.
이와 더불어 9월부터는 ‘상생페이백’ 제도가 시행되어 큰 관심을 끌었다. 이 제도는 본인 명의의 국내 신용·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국민을 대상으로 하며, 2024년 대비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소비가 늘어난 만큼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방식이다. 신청은 9월 15일부터 시작되어 2025년 11월 30일까지 가능했다.
앞서 언급된 ‘상생페이백’과 연계된 또 다른 소비 진작 정책이 바로 ‘상생소비복권’이다. 상생페이백을 신청하면 자동으로 이 복권 이벤트에 응모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소비복권은 8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의 누적 결제액을 기준으로, 5만 원당 1장의 쿠폰을 지급했으며, 1인당 최대 10장까지 응모할 수 있었다. 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 총 2,025명을 추첨하여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억 원을 지급할 계획이었으며, 1등 10명에게는 각 2천만 원, 2등 50명에게 200만 원, 3등 600명에게 100만 원, 4등 1,365명에게 10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었다. 다만 1등 당첨을 위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에서 5만 원 이상의 소비 실적이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다. 수도권에서만 소비한 경우에는 2등부터 4등까지의 당첨 기회만 주어졌다.
상생소비복권 사용처에도 제한이 있었다. 내수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만큼, 대형마트, 백화점, 유흥업소, 온라인 거래,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에서의 소비는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전통시장이나 동네 상점 등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곳에서의 소비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이러한 정책들은 국민들의 소비를 유도하여 침체된 경기를 활성화하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2차 소비쿠폰과 상생페이백, 그리고 상생소비복권이 실제 경제에 얼마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국민들의 가계 경제에 어떤 풍성함을 가져다줄지 귀추가 주목된다. 올 가을, 국민들의 마음과 대한민국 경제 모두 풍성한 한가위를 맞이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