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경제가 0.9% 성장할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이 나왔다.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1%p 소폭 상향된 수치이며, 내년에는 1.8%로 크게 회복될 것으로 예측되어 잠재 수준의 성장 궤도로 복귀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이러한 전망은 대외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 속에서 한국 경제가 직면한 어려움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촉구하는 배경에서 나왔다.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10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3.2%로 예측하며 이는 지난 7월 전망치보다 0.2%p 상향된 것이다.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은 3.1%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이러한 세계 경제 성장률 상향 조정에는 미국의 관세 인하 및 유예로 인한 불확실성 완화, 재고 조정 및 무역 경로 재편을 통한 경제 주체들의 적응력 향상, 그리고 달러 약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거시 경제적 흐름 속에서 한국 경제의 올해 성장률은 0.9%로 전망되었고, 내년에는 1.8%로 대폭 상향 조정되었다. 이는 한국 경제가 내년에는 잠재 성장 수준으로 정상 궤도에 복귀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을 포함한 41개 선진국 그룹의 올해 성장률은 1.6%로 수정되었으며, 내년에도 1.6%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성장률이 관세 인하, 감세 법안 통과, 금융 여건 완화 등에 힘입어 올해와 내년 모두 0.1%p씩 상향 조정되어 각각 2.0%, 2.1%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신흥개도국 그룹의 경우, 올해 성장률은 4.2%로 상향 조정되었고 내년에는 4.0%로 기존 전망을 유지했다. 특히 중국은 조기 선적과 재정 확장 정책이 무역 불확실성 및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여 올해와 내년 성장률 모두 각각 4.8%, 4.2%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글로벌 물가 상승률은 올해 4.2%, 내년 3.7%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하지만 IMF는 세계 경제의 위험 요인이 여전히 하방으로 기울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주요 하방 요인으로는 무역 불확실성, 이민 제한 정책으로 인한 생산성 악화, 재정 및 금융 시장의 불안정, 그리고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에 대한 재평가 가능성 등이 제시되었다.
긍정적인 측면으로는 무역 갈등 완화와 각국의 구조 개혁 노력 가속화, 그리고 AI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이 세계 경제의 상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할 때, 한국 경제가 IMF의 1.8% 성장 전망을 실현하고 견조한 회복세를 이어가기 위해서는 대외 경제 환경 변화에 대한 면밀한 대응과 함께 국내 경제의 체질 개선 노력이 지속적으로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