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와 고물가로 인한 서민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국민의 절박한 목소리를 직접 경청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행보에 나섰다. 14일 오후 서울 콘텐츠문화광장에서 열린 ‘디지털 토크 라이브-국민의 목소리, 정책이 되다’는 국민들이 겪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공유하고 해결 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는 ‘국민주권 실현’과 ‘참여와 소통’을 국정 철학으로 내세워온 이재명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소통 방식으로 평가된다.
이번 행사가 개최된 배경에는 국민들이 ‘국민사서함’을 통해 제출한 3만 8741건의 정책 제안이 자리하고 있다. 이 중 경제·민생 분야의 제안이 1만 7062건으로 전체의 44%를 차지하며 국민적 관심사를 반영했다. 특히 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 고물가로 인한 생계비 부담 완화, 전통시장 경쟁력 강화, 영세 자영업자 운영자금 지원, 지역화폐 활성화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핵심 민생 과제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이는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이 특정 계층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의 민감한 문제임을 시사한다.
이재명 대통령은 모두 발언을 통해 “국민 여러분께서 ‘국민사서함’을 통해 보내주신 소중한 의견들이 오늘 토론의 출발점”이라고 밝히며, “고금리와 고물가로 힘든 시기를 보내고 계신 국민 여러분의 절박한 목소리를 무겁게 듣고 있다”고 현재 상황에 대한 깊은 인식을 드러냈다. 이어 “국민주권정부의 정책은 국민의 삶과 동떨어져서는 안 되며, 현장의 목소리에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변함없는 신념”이라고 강조하며, “오늘 주신 생생한 말씀들을 정책으로 다듬어 국민의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보답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는 정부의 역할이 단순히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것을 넘어, 국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데 있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또한, “정부의 역할은 국민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현실적인 대안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감 없이 제시해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하며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총 110여 명의 국민 패널이 참여한 이번 행사는 ‘1부: 현장의 목소리’와 ‘2부: 대통령의 약속, 국민과의 대화’로 구성되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일반 국민들도 토론 현장을 실시간으로 접할 수 있도록 유튜브 이재명TV, KTV 국민방송, 참여 크리에이터 채널 등을 통해 생중계하며 투명성과 개방성을 더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행사를 시작으로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는 디지털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변화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민생 경제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국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려는 이재명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국민 참여를 통해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나가겠다는 미래 전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