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공공 서비스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서 ‘로그’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이용자 경험과 서비스 개선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단순한 기술적 누락을 넘어,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필수적인 데이터 기반의 행정 혁신을 가로막는 근본적인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은 “AI 전환을 한다는 것은 그저 AI를 도입하기만 해서 되는 일이 아니다”라며, “로그가 없는 웹페이지를 일만 년을 운영한들, 그 서비스는 조금도 좋아지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로그(Log)’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벤트를 기록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선박의 항해일지인 ‘로그북’에서 유래한 이 용어는,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로그인, 파일 삭제, 시스템 오류 발생 등 사용자의 모든 활동과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순서대로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로그 시스템은 시스템 운영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웹사이트의 경우 사용자들의 메뉴 이용 패턴, 페이지 로딩 속도, 이탈 지점 등을 파악하는 데 결정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
하지만 현재 많은 공공 서비스 사이트들이 이 ‘로그’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않다는 심각한 문제가 제기된다. 로그가 부재할 경우, 어떤 메뉴가 주로 사용되는지 알 수 없어 이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메뉴 배치가 불가능해진다. 또한, 페이지 로딩 속도가 느려도 이를 인지하고 개선할 방법이 없으며,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 중 불편을 느끼고 이탈해도 그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는 공공 서비스 이용자들이 잦은 불편함과 답답함을 느끼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우황청심환을 먹어야 하는 이유’라는 비유로 그 심각성을 강조한다.
인공지능(AI)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장하고 발전한다. AI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기계가 읽을 수 있으며, 통합될 수 있는 형태로 존재해야 한다. 공공 서비스에서 로그 시스템의 부재는 이러한 AI의 근본적인 연료인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게 만드는 구조적인 결함이다. AI 비서가 공무원들의 업무를 돕고, 과거 유사 사례를 분석하며, 다른 부처와의 시너지를 제안하는 등의 혁신적인 업무 방식은 양질의 데이터가 쌓이는 환경에서 비로소 가능하다. 회의록을 기반으로 할 일, 책임자, 기한 등을 자동으로 정리하고 캘린더에 연동하는 서비스 역시 마찬가지다.
박태웅 의장은 “일을 하면 저절로 데이터가 쌓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확보와 더불어 모든 업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언한다. AI 시대로의 전환은 단순히 AI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소프트웨어를 이해하고 클라우드 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무엇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스마트하게 일할 준비가 된 조직 문화와 시스템 구축을 요구한다. 로그 시스템의 부재는 이러한 AI 전환의 필수 조건인 데이터 축적 과정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며, 공공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선과 혁신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