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을 제시하며 국정 운영의 방향을 밝혔다. 이는 헌법에 명시된 국민주권과 국민행복의 가치를 실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으며, 지난 80년간의 산업화와 민주화 시대를 넘어 새로운 국민행복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드러낸다. 이 국가비전은 국민의 열망과 대통령의 소명이 결합된 시대정신으로, 광복 80주년을 맞이한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 정부의 국정 운영은 ‘경청과 통합, 공정과 신뢰, 실용과 성과’라는 세 가지 핵심 원칙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21세기 시대정신에 맞춰 다양한 목소리를 경청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며, 공정성을 바탕으로 국민과의 신뢰를 구축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또한, 다산 정약용의 ‘실사구시’와 막스 베버의 주장처럼, 현실적인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실용’을 통해 국민 삶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성과’를 도출하는 것을 국정 운영의 핵심 방법론으로 삼고 있다. 이는 단순히 정책 발표에 그치지 않고, 국민의 삶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결과를 만들어내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국가비전과 국정 원칙 아래, 이재명 정부는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라는 다섯 가지 핵심 국정 목표를 설정했다. 첫째, 헌정 질서 회복과 민주주의 기반 복원을 통해 분열을 넘어 국민 통합을 이루는 정치를 지향한다. 둘째, 저성장 기조와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AI, 에너지, 바이오, 문화 등 신산업 육성과 주력 산업 혁신을 통해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경제로 나아가고자 한다. 셋째, 지역 간, 계층 간 불평등 해소를 통해 수도권과 지역, 대기업과 중소기업, 경영자와 노동자가 함께 성장하는 균형 성장을 추구한다. 넷째, 소득, 주거, 의료, 돌봄, 교육 등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하며 모든 국민이 자신의 가능성을 펼칠 수 있는 튼튼한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급변하는 국제 질서 속에서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실용적인 외교를 통해 한반도 평화 정착과 글로벌 리더로 도약하는 대한민국을 모색한다.
이재명 정부가 제시한 국가비전과 5대 국정 목표는 국민주권과 국민행복 실현이라는 궁극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국민과의 긴밀한 소통과 통합, 공정한 정책 추진, 그리고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통해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을 구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