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의 근간을 이루는 곤충들이 기후변화로 인해 생존 위기에 처하면서, 이는 단순히 생물 다양성의 감소를 넘어 인류의 미래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곤충은 물과 토양을 정화하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열매를 맺게 하는 등 생태계 유지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미래 식량 자원과 산업 소재로서의 잠재력 또한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이러한 곤충들이 급격한 기온 상승과 서식지 변화로 인해 개체 수가 줄어들고 멸종 위기에 직면하며, 우리 사회는 곤충의 위기를 인류의 위기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할 때다.
국립과천과학관은 9월 7일 곤충의 날을 맞아 9월 2일부터 10월 26일까지 곤충생태관에서 기획전 ‘잠자리를 따라가면 보이는 것들’을 개최하며 곤충의 중요성과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다. 이 전시는 약 4억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진 곤충의 역사를 소개하며, 단단한 외골격과 탈바꿈이라는 생존 전략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해온 곤충이 어떻게 지구상에서 가장 다양한 생물군이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뛰어난 적응력을 가진 곤충조차 기후변화 앞에서는 속수무책으로, 서식지 이동 및 축소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속출하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제시한다.
특히, 이번 전시는 곤충의 변화를 기후변화에 대한 인류를 위한 경고로 해석하며, 8종의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을 통해 그 심각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먹그림나비, 푸른큰수리팔랑나비, 무늬박이제비나비, 푸른아시아실잠자리는 더 따뜻한 지역을 찾아 북상하며 서식지를 옮겼고, 말매미와 넓적배사마귀는 기후변화에 빠르게 적응해 서식지를 확장하기도 했다. 반면, 큰그물강도래와 철써기는 기온 상승에 적응하지 못하고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미 멸종위기종에게 닥친 위협이다. 붉은점모시나비는 먹이 식물 감소로 한반도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며, 한국 고유종인 한국꼬마잠자리는 수온 상승으로 유충 생존율이 감소하며 멸종 위기에 놓였다. 한국꼬마잠자리가 한반도에서 사라지면 전 세계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므로, 이들의 보존은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곤충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다. 쉽게 사라지지 않는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며, 이는 해수 온도 및 해수면 상승으로까지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에서도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시는 대중교통 이용, 다회용품 사용, 대기전력 차단 등 우리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후 행동 방안을 제시하며 마무리된다. 이번 전시는 곤충을 통해 기후변화 위기가 생태계를 넘어 인간의 삶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우리가 지켜야 할 지구의 미래를 다시 한번 생각하고 일상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