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대형 화재와 붕괴 사고와 같은 복합적인 재난 발생이 잦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국가 차원의 재난 관리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정부가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재난 및 안전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것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가운데,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소방청은 급격히 심화하는 기후위기와 인공지능(AI) 시대의 도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자율기구였던 소방과학기술과를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로 개편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앞서 제기된 복합 재난이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과학기술과 디지털 전환이라는 정책 기조에 발맞추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다.
새롭게 출범하는 소방AI기후위기대응과는 소방 현장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첨단 장비의 연구개발 및 기획 업무를 담당한다. 나아가 소방 정책에 인공지능을 포함한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하는 과제를 발굴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인 지원을 수행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를 통해 소방청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하고, 궁극적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안전 서비스를 구현해 나갈 계획이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소방정책은 기후위기 시대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선제적이고 유연한 조직 혁신을 통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재난에 강한 안전 사회를 만들어 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조직 개편과 함께 추진될 정책들은 향후 복합 재난 발생 시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