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 이후 많은 부부들이 겪는 심각한 갈등이 중년·황혼 이혼율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남편재택 스트레스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생겨날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며, 이는 한국에서도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과거 현역 시절에는 각자의 세계에서 분주하게 생활하며 배우자의 사정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았던 부부들이, 퇴직 후 남편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성격 및 생활 습관 차이로 인한 갈등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갈등의 배경에는 한국과 일본 특유의 부부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커플 문화가 발달한 미국과 달리, 한국과 일본에서는 남편이 현역으로 일하는 동안 부부가 서로 다른 세계에서 살아왔다. 남편은 회사일에 집중하고, 아내는 가사와 자녀 양육을 담당하며 각자의 삶에 보람을 찾았다. 그러나 남편이 퇴직하면서 평일 낮 시간 대부분을 집에 머물게 되자, 이전에는 문제되지 않았던 남편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이 아내에게는 심각한 스트레스 요인이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우울증, 고혈압, 공황장애 등 다양한 건강 문제로 이어지기도 하며, 심한 경우 ‘부원병’이라 불릴 정도로 부부 관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지난 20여 년간 전체 이혼 건수는 감소했으나, 혼인 지속 기간 20년 이상인 중년·황혼 이혼 비율은 1990년 14%에서 2023년 23%로 증가했다. 이러한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퇴직 후 부부 갈등이 새롭게 등장했으며, 이는 단순히 성격 차이, 경제 문제, 외도와 같은 전통적인 이혼 사유 외에 간과할 수 없는 새로운 요인으로 자리 잡았다.
한국 역시 이러한 일본의 상황을 먼 미래의 일로만 볼 수 없다. 한국의 중년·황혼 이혼율은 일본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여 년간 전체 이혼율은 꾸준히 낮아져 왔지만, 전체 이혼 건수에서 중년·황혼 이혼이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 5%에서 2023년에는 무려 36%로 급증했다. 이러한 추세의 배경에는 퇴직 후 부부 갈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언론 보도나 노후 설계 강의 현장에서 퇴직 후 부부 갈등에 대한 고민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의 노후 설계 전문가들은 퇴직을 앞둔 부부들에게 퇴직 후 부부 화목을 위한 특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을 조언한다. 특히 낮 동안은 가능한 한 부부 각자 자기만의 시간을 가질 것을 권장하며, 일부 전문가들은 ‘낮에는 집에 없는 남편’이 가장 인기 있는 남편 유형이라고 말할 정도이다.
결론적으로, 퇴직 후 노후자금 마련만큼이나 부부 화목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부부 모두 낮 동안 수입을 얻는 일이든, 사회공헌활동이든, 취미 활동이든, 혹은 이 세 가지를 겸한 활동이든 각자의 시간을 의식적으로 갖고자 노력해야 할 시점이다. 이는 단순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넘어,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위한 필수적인 과제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