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9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25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낯섦에서 일상으로’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중증장애인의 경제적 자립과 사회적 통합이라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현장이었다. 행사장 곳곳에서 시민, 공공기관 관계자, 그리고 생산자들이 한데 모여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몸소 실현하는 모습은, 그동안 보호와 시혜의 대상으로 여겨져 왔던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이제는 일상에서 당연히 소비되는 제품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했다.
이 박람회는 중증장애인이 생산한 제품의 판로를 개척하고, 경제적 자립을 지원함으로써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당당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기업 지원 사업 안내 부스와 직업재활 체험 부스는 이러한 목표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솔루션으로 기능했다. 특히 직업재활 체험 부스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종이 쇼핑백을 만들고 꽃을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생산 현장의 무게와 세심한 노동의 가치를 몸소 체험했다. 이 과정에서 참가자들은 단순한 작업 수행을 넘어, 동료의 도움을 받으며 완성품을 만들어내는 성취감을 경험했다. “쇼핑백 손잡이를 꿰매는 과정이 생각보다 어렵더라고요. 몇 번이나 실수했는데 옆에서 선생님이 손을 잡아주며 도와주셨습니다. 마지막 매듭을 완성했을 때 제 손으로 끝까지 해냈다는 성취감이 크게 다가왔습니다”라고 소감을 밝힌 금천구 박O광 씨(32)의 말은, 이러한 체험이 중증장애인에게 얼마나 큰 자신감과 자립의 동기를 부여하는지 명확히 보여준다. 완성된 쇼핑백에 새겨진 ‘일상으로’라는 문구는, 중증장애인 생산품이 특별한 것이 아닌, 우리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아야 한다는 염원을 담고 있었다.
전시장 안쪽에서는 ‘래그랜느 쿠키’, ‘쌤물자리’ 등 다양한 중증장애인 생산품들이 관람객들을 맞이했다. 이들 제품은 HACCP 인증, 투명한 생산 공정 안내, 합리적인 가격 책정 등을 통해 ‘맛·품질·가격’이라는 경쟁력을 앞세워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있었다. 특히 구립강서구직업재활센터가 선보인 제설제와 세정제는 ‘장애인 생산품=소품’이라는 오래된 고정관념을 깨뜨리며 산업 현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품질을 입증했다. 제품 앞에 선 생산자들의 단정한 표정에는 ‘제값을 받을 수 있다’는 당당함이 묻어났으며, 관람객들은 이러한 경쟁력을 통해 동정이 아닌 실력으로 승부하는 생산자들의 노력을 인정하고 있었다. 이는 중증장애인이 단순히 도움을 받는 대상이 아니라, 품질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제 주체로서 존중받아야 한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행사장 한편의 무대에서는 우선구매 유공자 포상이 진행되었고, 이어진 협약식에서는 내일의 판로를 약속하는 서명이 오갔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스마트 모바일 솔루션 협약식, 한국교직원공제회, 한국장애인개발원, 전국장애인생산품판매시설협의회의 협약식 등은 안정적인 수요처 확보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핵심 목표를 향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했다. 통로에서는 공공 조달 담당자와 생산 시설 종사자들이 납품 조건, 단가, 납기 등을 논의하는 현장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논의는 무대 위의 약속이 현장의 실제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안정적인 수요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이라는 박람회의 심장을 더욱 힘차게 뛰게 했다.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경쟁 고용이 어려운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이다. 이 제도를 통해 공공기관은 일정 비율 이상 해당 생산 시설의 제품과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한다. 이러한 제도는 단순한 상업적 거래를 넘어, 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사회적 신뢰를 쌓아가는 실질적인 기반을 조성한다. 이번 박람회에서 만난 손끝의 성실함, 무대 위의 약속, 통로에서 오간 대화는 ‘낯섦에서 일상으로’라는 주제를 구호가 아닌 현실로 바꾸어냈다. 쿠키 한 봉지, 누룽지 한 팩, 쇼핑백 하나가 누군가의 내일 출근을 가능하게 한다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진실, 그것이 이번 박람회의 가장 큰 성과였다. 이는 소비가 변화를 이끌고, 그 변화가 중증장애인의 일상을 더욱 풍요롭고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희망적인 전망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