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사회에서 누구도 예외 없이 마주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싱글 노후’에 대한 사회적 대비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배우자와의 사별, 중년 또는 황혼 이혼 후 재혼하지 않는 경우, 혹은 평생 결혼하지 않고 살아가는 등의 이유로 혼자 노년을 보내는 이른바 ‘싱글 노인’의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체가 직면해야 할 중대한 도전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4년 627만 7000명의 노인 인구 중 18.4%인 115만 2700명이 싱글 노인이었으나, 2024년에는 993만 8000명의 노인 중 22.1%에 해당하는 219만 6000명으로 무려 10년 만에 1.9배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고령 사회를 앞서 경험한 일본의 지난 10년간 싱글 노인 증가 속도 1.4배를 훨씬 상회하는 수치로, 우리나라의 싱글 노인 증가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를 여실히 보여준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해 12월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2036년에는 일본 수준인 30%를, 2045년에는 37%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싱글 노인 문제는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는 혼자 사는 노후를 단순히 어둡고 비관적인 미래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 스웨덴과 같이 1인 가구 비율이 57%에 달하지만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살기 좋은 나라로 알려진 사례는, 혼자 사는 삶이 제대로 된 준비와 여건이 갖춰진다면 충분히 행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우리 역시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혼자 사는 삶을 행복한 삶으로 바꿀 수 있도록 미리 준비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혼자 살게 될 노후를 행복한 노후로 만들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노후의 3대 불안 요소인 돈, 건강, 그리고 외로움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핵심이다. 첫째, 경제적 준비로는 현역 시절부터 최저 생활비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으로 구성되는 3층 연금 시스템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3층 연금으로 부족할 경우 주택연금이나 농지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남편 사망 시 아내의 노후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종신보험을 준비하는 것도 매우 중요한 선물이다. 불의의 사고나 질병 발생 시 의료비 마련을 위한 의료실비보험 역시 필수적이다.
둘째, 외로움에 견딜 수 있는 ‘고독력’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무리 경제적인 준비가 되어 있더라도 ‘고독’이라는 감정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고독력을 키우는 것이 고립된 생활을 자초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혼자 살더라도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자신에게 맞는 취미 생활을 즐기며, 새로운 공동체에 편입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고립을 피하는 데 있어 주거 형태 역시 중요한 요소이다. 자녀와 함께 살기를 희망하지 않는다면, 이웃만큼 훌륭한 복지 시설은 없을 수 있다. 이미 고령 사회를 경험한 일본에서는 18~20평의 소형 평수이면서 쇼핑, 의료, 취미, 오락, 친교 활동을 가까운 거리에서 해결할 수 있는 주거 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대형 또는 고층 아파트를 선호하는 우리나라 노년 세대들이 참고할 만한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노후 생활비 준비 방법에 있어 남편 중심의 준비에서 혼자 남게 될 가능성이 높은 아내를 배려하는 준비로 전환이 필요하다. 65세 이상 혼자 사는 노인의 72%, 70세 이상 노인의 78%가 여성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혼자 사는 노후는 여성의 문제라고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아내가 혼자 남겨졌을 경우를 대비하여 연금, 보험 등에 미리 가입하여 준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최근 가족 해체와 더불어 가족 회복 운동이 일어나고 있는 점, 일본의 3대가 독립적으로 거주 시 세제 혜택, 그룹 리빙, 공유 경제 활성화 등은 우리가 주목하고 참고할 만한 흥미로운 사례들이다. 이러한 다각적인 준비를 통해 우리는 ‘싱글 노후’라는 시대적 과제를 슬기롭게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