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과 영국 런던에서 온 취재진 앞에 선 대통령의 표정에는 당당함이 엿보였다. 그는 날카로운 질문이 쏟아지는 상황에서도 흔들림 없이 답변을 이어갔다. 특히 북한의 도발 위협과 같은 외교 안보 현안뿐만 아니라 4대 개혁, 경제, 저출생 문제 등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질문에도 대통령은 자신의 소신을 분명히 했다. 70분간 진행된 단독 인터뷰에서 대통령은 단 한 장의 메모 없이도 거침없는 생각의 흐름을 보여주며 취재진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대통령의 모습은 미국의 유력 시사 주간지 뉴스위크가 “윤 대통령에게 가장 큰 문제는 북한이 아니다”라는 제목으로 커버 스토리를 장식한 배경이 되었다. 뉴스위크는 북한의 위협 속에서도 4대 개혁 완수를 강조하는 대통령의 확신에 찬 모습을 주목했다.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퇴임 후 다음 정권에서 우리의 성장을 계속 추동할 수 있는 잠재 성장 동력을 얼마나 만들어 내는가가 재임 중에 해야 할 일”이라며, “지지율이나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임기 중에 이 문제가 어느 정도 풀려야 하고, 개혁과 제도 개선 없이 물러설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는 임기 반환점을 앞둔 대통령의 깊은 의지를 보여주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뉴스위크는 윤석열 대통령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 직후 발간되는 첫 잡지 커버 스토리 주인공으로 선택하며, ‘국내적 진실(Home Truths)’이라는 도전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굴의 의지로 개혁을 완수하려는 대한민국 대통령의 이미지를 부각시켰다. 기사 제목인 ‘혹독한 맞바람(Harsh Headwinds)’과 부제 ‘점차 더 호전적이 돼 가는 북한이라는 유령(specter)의 그림자 속에서 한국의 구조적 문제를 개혁하기 위한 윤 대통령의 전쟁(battle)’은 한국이 직면한 도전적인 환경의 엄중함을 전 세계에 알리려는 뉴스위크 편집팀의 의도를 드러낸다.
인터뷰는 윤 대통령이 국가 안보와 국내 개혁 모두 절체절명의 과제임을 분명히 하면서, 두 가지가 ‘동전의 양면’임을 강조하는 발언으로 마무리되었다. 당초 3월에 제안되었던 인터뷰는 총선과 의료 개혁 추진으로 인해 연기되었으나, 임기 반환점을 앞두고 10월 16일 성사되었다. 뉴스위크의 데브 프라가드 CEO와 낸시 쿠퍼 글로벌 편집장 등이 참여한 이번 인터뷰는 70분을 넘겨 진행되었으며, 대통령은 시종일관 밝은 표정으로 추가 질문과 화보 촬영에 응했다.
인터뷰 이후 대통령은 취재진에게 선물 받은 빈티지 야구 용품, 수상 기록 등에 대해 이야기하며 기념 사진을 촬영하는 것으로 일정을 마무리했다. 한편, 뉴스위크 취재진은 북한의 경의선 동해선 연결도로 폭파 여파로 비무장지대 방문은 무산되었으나, 파주 오두산 통일전망대 방문을 통해 한국의 통일에 대한 염원을 담은 서예 작품들과 윤 대통령의 “자유, 평화, 그리고 통일”이라는 메시지를 기사에 담았다. 뉴스위크는 윤 대통령의 개혁 추진 의지와 사심 없는 결단력을 핵심 키워드로 삼았으며, 글로벌 중추 국가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4대 개혁의 성공이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되고 있음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