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한민국은 경제적 어려움과 예측 불가능한 글로벌 상황, 그리고 심화되는 청년 실업, 저출산·고령화 문제 등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현실은 전 국민의 정신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최근 발표된 자살률 통계는 우리 사회의 무거운 현실을 방증한다. 학생들은 입시와 취업 스트레스에 지쳐 미래에 대한 확신을 잃었고, 고용 불안과 사회적 예측 가능성 감소는 불안감을 증폭시키며 일상적인 짜증과 분노를 유발한다. 노인 세대 또한 신체적, 경제적 어려움과 더불어 사회적 소외감을 느끼며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처럼 끝이 보이지 않는 듯한 터널 속에 갇힌 듯한 답답함 속에서 ‘희망’을 이야기하는 것조차 사치로 느껴질 수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우리는 잠시 멈춰 우리 자신의 저력을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은 이미 K-pop, K-drama, K-food 등 문화적 성공을 통해 세계인의 일상에 깊숙이 스며들었으며, BTS, 블랙핑크, 영화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은 한국 문화를 세계 중심 무대로 이끌었다. 이는 단순한 유행을 넘어 오랜 시간 축적된 창의성과 끈기, 노력의 결실이다. 경제적으로도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정보통신, 의료, 교육, 치안 등 여러 분야에서 선진국 반열에 올라섰다. 해외에서는 대한민국의 질서, 시민의식, 안전함을 높이 평가하며, 밤늦게 거리를 활보하거나 카페에 물건을 두고 자리를 비워도 안심할 수 있는 일상은 타 국가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특별함이다. 이처럼 우리는 물질적 풍요는 이루었으나, 정서적으로는 오히려 불안하고 고립되며 쉽게 지쳐버리는 사회가 되어가고 있음을 직시해야 한다. 이는 어쩌면 너무 열심히, 너무 오랜 시간 앞만 보고 달려온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순한 경제 성장이나 기술 발전이 아니라, 삶의 가치를 회복하고 지나온 삶을 돌아보며 여유를 갖고 마음을 치유하는 일이다.
신영철 정신건강정책 혁신위원회 위원장(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우리는 이미 증명된 민족”이라고 강조한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 산업화를 이루고, 민주화를 성취했으며,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고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들어낸 저력은 단순한 운이 아닌, 우리 민족 속에 깊숙이 자리한 ‘희망의 유전자’ 덕분이라는 것이다. 이제는 이 어려운 현실 앞에서 주저앉을 것이 아니라, 수많은 위기를 이겨낸 그 ‘희망의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때라는 주장이다. 우리가 맞서야 할 것은 외부의 위협뿐만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마음속에 품은 불안과 두려움, 그리고 부정적인 생각임을 명확히 인지해야 한다.
이러한 국민적 열망과 에너지가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새 정부의 중요한 과제다. 정부는 국민을 믿고, 국민은 정부의 진정성과 방향성을 신뢰할 때 진정한 회복이 가능하다. 우리 마음속에 존재하는 ‘희망의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그 토양을 만들고 햇살을 비추는 일이 지금 가장 필요한 일이다. 앞으로도 많은 난관이 예상되지만, 이제는 ‘혼자 버티는’ 시간이 아닌 ‘함께 걸어가는’ 시간이 되어야 한다. 앞만 보고 달려온 길 위에서 잠시 멈춰 옆 사람을 살피고, 지친 누군가를 일으켜 세우며, 자신 또한 누군가의 도움으로 일어설 수 있을 때 건강한 사회가 될 것이다. 우리 속에 간직한 ‘희망의 유전자’는 오랜 고난과 좌절 속에서도 살아남았으며, 지금도 우리 가슴 속에 뜨겁게 살아 숨 쉬고 있다. 이제는 그 유전자를 다시 꺼내 들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