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여름이 시작되면 더위를 쫓기 위한 다양한 음식들이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는다. 그중에서도 얼음 알갱이를 깎아내리는 소리만으로도 시원함을 선사했던 빙수는 한때 여름철 최고 인기 간식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1970년대, 학교 앞 분식집이나 만화가게에서 십 원짜리 한 장으로 맛볼 수 있었던 수동식 빙수기는 당시 서민들에게는 더위를 잊게 해주는 마법과도 같았다. 주물로 만든 빙수기를 돌려 깎아낸 얼음 위에 색소가 든 시럽을 뿌려 먹던 그 시절의 풍경은 많은 이들의 추억 속에 남아있다.
당시에는 여름이면 방송사마다 ‘납량특집’ 프로그램을 방영하며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지만, 음식 분야에서는 빙수가 그 역할을 대신했다. 귀신 이야기가 오싹한 재미를 선사했다면, 빙수는 시원함을 제공하며 더위를 식혀주었다. 당시 빙수 가격은 십 원이었지만,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아 침만 흘리며 빙수 기계를 구경하는 이들도 많았다. 얼음이 빙빙 돌며 깎여 그릇에 수북이 쌓이는 모습, 그리고 그 위에 뿌려지는 시럽은 마치 신비로운 광경처럼 여겨졌다.
시간이 흘러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빙수는 큰 변화를 맞이한다. ‘눈꽃 빙수’가 등장하며 기존의 얼음과는 다른 부드러운 식감을 선사했고, 빙수 전문 카페와 호텔에서는 고급스러운 재료를 사용한 다양한 형태의 빙수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이제 빙수는 더 이상 여름 전용 간식이 아닌, 사계절 즐길 수 있는 별미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옛날 빙수의 소박한 맛을 그리워한다.
진정한 빙수 왕국이라 불리는 부산은 이러한 옛날 빙수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광복동, 용호동 등 부산 곳곳에는 빙수 거리가 형성되어 있으며, 국제시장 안에서는 옛날 빙수를 맛보기 위해 긴 줄을 서는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부산에서 빙수가 유명해진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생선을 얼려 보관해야 하는 지역 특성상 얼음이 흔했고, 더운 날씨에 시원한 빙수에 대한 수요가 높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산 시민들이 사랑하는 빙수는 요란한 고명 대신 푸짐하게 얹은 팥이 특징이다. 달지 않은 팥과 함께 얼음 위로 쌓인 빙수는 단순한 간식을 넘어 든든한 한 끼 식사로도 손색이 없다.
이처럼 옛날 빙수는 단순한 음식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미국에 거주하는 지인은 한국에 살 때 얼음 창고가 있던 동네에 살았으며, 겨울이면 얼음 부역에 참여했던 조상들의 이야기를 떠올리며 빙수를 먹는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는 조선 시대부터 얼음이 귀한 존재였으며, 여름에 얼음을 사용하는 음식은 궁중의 전유물이나 다름없었음을 시사한다. 서민들이 얼음을 접하기는 겨울에나 가능했고, 여름 얼음은 상상 속의 물체였다. 이러한 옛 이야기들은 얼음의 귀함을 실감하게 하며, 얼음으로 만든 최고의 음식인 옛날 빙수를 더욱 특별하게 만든다. 더위가 채 가시기 전에 부산으로 향해 푸짐한 팥이 얹어진 옛날 빙수를 맛보며 더위를 식히고 옛 추억을 되새길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