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음식이 남는 것은 흔한 풍경이다. 특히 갈비찜은 귀한 음식이라 양념만 남거나, 잡채와 전도 자투리가 냉장고에 남기 마련이다. 이러한 남은 명절 음식을 다시 데워 먹는 것도 좋지만, 색다른 요리로 재탄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임팩트저널은 박찬일 셰프의 레시피를 통해 명절 후 남은 갈비찜과 잡채를 활용한 ‘갈비찜 잡채볶음밥’과 남은 전을 이용한 ‘전 두루치기’를 소개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고 풍성한 식탁을 완성하는 방법을 분석한다.
올해 추석은 시기적으로 매우 적절하여 풍요로운 수확을 감사하고 조상에게 봉양하는 명절의 의미를 되새기기에 좋았다. 비록 늘 순탄한 시절만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명절은 고난의 시간을 이겨내는 힘이 되기도 했다. 추석은 ‘차례상’을 차리는 중요한 날로, 조상에게 차를 올리는 행위를 통해 존경을 표하는 전통이 있다. 차례상에는 송편을 올리는 것이 설날과 다른 점이며, 갈비찜과 잡채 등도 많은 집에서 준비하는 명절 음식이다. 과거에는 소고기 값이 비싸 명절에도 갈비찜을 맛보기 어려웠지만, 이제는 명절 상차림에서 갈비찜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갈비찜은 jsonData:
{
“img”: “https://imgnews.sportsseoul.com/2024/0227/20240227020002344001101850.jpg”
}
오랜 역사를 지닌 특별한 음식으로, 과거에는 부유한 집에서나 맛볼 수 있는 귀한 요리였다.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돼지갈비찜이 소갈비찜을 대신할 수 있게 되었다. 갈비찜은 구이와 찜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는데, 일반적으로 찜은 집에서 만들어 먹는 요리였다. 집에서 갈비찜을 만들 때는 간장, 설탕, 마늘, 양파, 파, 후추, 술을 기본으로 하여 반나절에서 하루 정도 재워 푹 끓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피를 빼는 과정을 거치거나 무와 당근을 함께 넣어 풍미를 더하기도 한다. 압력솥을 사용하면 조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너무 오래 익히면 살이 흐물거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렇게 만든 갈비찜이 명절 후 남았을 때, 셰프는 이를 활용한 ‘갈비찜 잡채볶음밥’을 제안한다. 냄비에 남은 갈비찜의 양념과 살점, 물러진 당근 등을 활용하면 일인분의 볶음밥을 만들기에 충분하다. 여기에 고추장 반 큰술과 남은 잡채, 김가루를 더하면 맛있는 볶음밥이 완성된다. 팬을 달궈 갈비 소스를 넣고, 뜨거워지면 잡채와 밥을 함께 넣어 풀어주듯이 섞는다. 이때 식용유는 따로 넣지 않아도 갈비 소스와 잡채에 포함된 기름으로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고추장을 넣어 섞어가며 마무리하고 김가루를 뿌리면 된다. 고추장 대신 신김치를 다져 넣어도 좋으며, 이는 단맛과 매운맛을 더해주는 역할을 한다.
명절의 또 다른 단골 메뉴인 전 역시 남는 경우가 많다. 남은 전을 다시 부쳐 먹는 것도 좋지만, ‘전 두루치기’라는 색다른 요리로 즐길 수 있다. 두루치기는 조림이나 볶음과 유사한 즉석 요리의 느낌이 강한 음식이다. 이 요리에는 잘 익은 김치, 파, 고춧가루, 다진 마늘, 캔 참치, 치킨스톡이 필요하다. 먼저 냄비에 식용유를 두르고 달군 후 다진 마늘과 파를 볶다가 캔 참치를 넣고 물과 치킨스톡을 약간 붓는다. 여기에 적당한 크기로 자른 김치와 전을 넣고 고춧가루를 넣어 바글바글 끓이면 두루치기가 완성된다. 특히 두부전이 남았다면 이 두루치기 요리가 더욱 맛있으며, 일반 두부를 넣어도 좋다. 국간장이나 소금으로 간을 조절하고, 국물이 자작하게 졸아들면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다. 전에서 우러나오는 기름 덕분에 국물이 진하고 깊어진다.
이처럼 명절 후 남은 음식을 새로운 요리로 재탄생시키는 것은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현명한 방법이자, 풍성했던 명절의 맛을 다시 한번 즐길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긴 추석 연휴가 마무리될 무렵, 이러한 특별한 요리들은 지나간 ‘좋은 시절’에 대한 아쉬움을 달래주며 풍성한 식탁을 완성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