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9월 6일은 자원순환의 날이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는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과정에서 많은 혼란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상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정보 부족은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체감하기 어렵게 만들고, 결국 재활용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제대로 분리되지 않은 폐기물은 소각되거나 매립될 수밖에 없어 환경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환경부가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개설하며 복잡한 분리배출 문제 해결에 나섰다.
새롭게 개설된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리배출 개요’에서는 분리배출의 필요성과 더불어 재활용 과정을 상세히 안내한다. 특히, 우리가 버린 폐기물이 어떻게 새로운 제품으로 재탄생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분리배출의 중요성을 실감하게 하고, 이를 통해 재활용률을 높여 환경을 보호하는 방법임을 강조한다. 또한, 오염되거나 잘못 분류된 플라스틱이 소각되거나 매립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확히 제시하며 정확한 분리배출에 대한 책임감을 고취시킨다.
‘분리배출 방법 안내’ 항목은 폐기물 종류별, 주택 유형별로 세분화된 분리배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 중에서도 음식물 쓰레기, 택배 송장, 전단지 등 일상에서 가장 헷갈리기 쉬운 품목들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치킨 뼈, 조개 껍데기, 과일 씨앗, 알·견과류·곡류·콩류·채소류 껍질 등은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배출해야 하며, 복어 내장이나 한약, 차류 찌꺼기 또한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분류된다. 또한, 코팅된 종이류인 송장, 영수증, 전단지 등은 종이류로 분리배출되지 않고 일반 종량제 폐기물로 처리해야 한다는 점이 명시되어 있어 혼란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별 분리배출 안내’는 각 지자체의 누리집으로 바로 연결되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별 배출 시간, 장소, 조례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우리 동네의 올바른 배출 요일과 분리수거 방법을 숙지함으로써 무질서한 쓰레기 배출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고객지원’ 항목에서는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통해 페트병 압착 후 뚜껑을 닫아 배출하는 이유와 같이 실질적인 분리배출 습관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무색 페트병을 압착하여 배출하는 것은 재활용품 수거 차량에 더 많은 양을 적재하여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라는 설명은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이처럼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분리배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재활용률을 높여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리배출에 대한 찝찝함을 해소하고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에게 이 누리집은 유용한 해결책이 될 것이다.